SK하이닉스가 연산 기능을 갖춘 차세대 메모리반도체 PIM(프로세싱 인 메모리)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PIM은 메모리 반도체에 연산 기능을 더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처리 분야에서 데이터 이동 정체 문제를 풀어낼 수 있는 차세대 기술이다.
![]() |
▲ SK하이닉스 PIM 적용 첫 제품 GDDR6-AiM [SK하이닉스 제공] |
그동안 메모리 반도체는 데이터 저장 역할을 맡고 사람의 뇌와 같은 기능인 연산 기능은 비메모리반도체인 CPU나 GPU가 담당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었다.
SK하이닉스는 연산도 할 수 있는 ‘차세대 스마트 메모리’를 꾸준히 연구해왔고, 이번에 첫 결과물을 공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달 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반도체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회 ‘2022 ISSCC’에서 PIM 개발 성과를 공개할 예정이다.
향후 이 기술을 발전시키면 스마트폰 등 정보통신(ICT) 기기에서 메모리반도체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메모리 센트릭 컴퓨팅’도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더해 SK하이닉스는 PIM이 적용된 첫 제품으로 ‘GDDR6-AiM’ 샘플을 개발했다. 초당 16기가비트(Gbps)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GDDR6 메모리에 연산 기능이 더해진 제품이다.
일반 D램 대신 이 제품을 CPU‧GPU와 함께 탑재하면 특정 연산의 속도는 최대 16배까지 빨라진다. 앞으로 GDDR6-AiM은 머신러닝, 고성능 컴퓨팅, 빅데이터의 연산과 저장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SK하이닉스는 최근 SK텔레콤에서 분사한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사피온과 협력해 GDDR6-AiM과 AI 반도체를 결합한 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류수정 사피온 대표는 “인공 신경망 데이터 활용이 최근 급속도로 늘어나 이 같은 연산 특성에 최적화한 컴퓨팅 기술이 요구된다”며 “양사의 기술을 융합해 데이터 연산‧비용‧에너지 사용 측면에서 효율성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안현 SK하이닉스 솔루션개발담당 부사장은 “PIM 기반의 GDDR6-AiM을 활용해 새로운 메모리 솔루션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사업모델과 기술개발 방향성을 지속해서 진화시켜 나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