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 해외주식 12개월간 온라인수수료 0.07% 이벤트 실시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9-01 14:24:58
  • -
  • +
  • 인쇄
미국주식, 중국주식 무료 실시간시세 제공
미국 주요 업종/테마 분석, IPO 일정 화면 오픈

KB증권이 미국, 중국, 홍콩, 일본주식 온라인 거래수수료를 0.07%에 12개월간 제공하는 이벤트를 실시한다. 

 

KB증권(사장 박정림, 김성현)은 1일(수)부터 11월 30일(화)까지 3개월간 ‘해외주식 온라인수수료 0.07% 이벤트’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벤트 대상은 KB증권에서 해외 주식을 최초로 거래하는 프라임센터 (비대면, 은행연계) 계좌 보유 고객 중 이벤트 신청 고객이며, 신청 일로부터 12개월간 미국, 중국, 홍콩, 일본시장 거래 시 0.07%의 온라인 수수료 혜택을 제공받을 수 있다. (거래 국가 정규장 마감시간 이전 신청 시 당일 거래 소급 적용)

금번 이벤트를 통해 해외주식을 처음 거래하는 KB증권 고객은 수수료 부담을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 친화적인 해외주식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KB증권은 연초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미국 주식 무료 실시간 시세 서비스인 ‘미국주식 실시간 Lite’에 이어 중국 주식 무료 실시간 시세 서비스 ‘중국주식 실시간 Lite’를 8월부터 제공하고 있다. 또한 미국 주요 업종·테마 분석, 미국 IPO (신규상장) 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화면을 오픈하여 보다 편리한 해외주식 거래환경 구축에 힘쓰고 있다.

또한 글로벌 6대 시장(미국·중국A(후강통, 선강통)·홍콩·일본·베트남·한국) 주식을 환전수수료없이 원화로 거래할 수 있는 글로벌원마켓(Global One Market)서비스는 2019년 1월 출시 후 현재 누적 가입 계좌수 100만에 육박하며 KB증권 해외주식 거래의 기본 플랫폼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하우성 M-able Land Tribe장은 “글로벌 증시 투자를 통해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자하는 해외주식 첫 거래 고객들의 수수료 부담을 줄여 드리기 위해 금번 이벤트를 마련했다” 면서 “앞으로도 고객들에게 유용한 해외투자 콘텐츠를 제공하고 거래 편의성을 제고하는 등 고객 만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식투자는 원금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해외 주식의 경우 환율 변동에 따른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벤트 신청은 KB증권 홈페이지 또는 MTS ‘M-able(마블)’, HTS ‘H-able(헤이블)’ 에서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KB증권 홈페이지를 참조하거나 고객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