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노동계, 농협에 '홈플러스 구원 요청'… 인수론 현실화될까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7 14:36:44
  • -
  • +
  • 인쇄
"농협이 나서야 유통망과 일자리 지킨다"는 여론 주목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홈플러스 매각 인수의향서(LOI) 접수 마감이 임박하면서 정치권과 노동계가 동시에 “공익적 차원의 인수 검토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단순한 구조조정 이슈를 넘어, 대형 유통망 붕괴와 대규모 고용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 2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은 “홈플러스가 청산되면 소상공인과 협력업체 종사자를 포함해 30만 명이 일자리를 잃게 된다”며 “농협이 공익적 관점에서 인수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연합뉴스]

 

같은 당 송옥주 의원 역시 “홈플러스는 가락시장 거래액의 3분의 1 수준인 연간 1조8800억원의 국산 농축산물을 판매하며, 약 5만 농어가의 주요 판로 역할을 한다”며 “홈플러스가 무너지면 농민의 생계와 도시 소비자의 식탁 물가가 동시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송 의원은 “농협과 홈플러스의 연간 거래액이 4072억원에 달한다”며 “농협유통이 연간 500억~600억원의 적자를 내더라도 홈플러스망을 활용하면 훨씬 큰 실익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농협이 단순한 경제 논리에 갇혀 손을 놓는다면 공공적 역할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농협의 사정도 녹록지 않다. 여러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답했지만, 정치권의 ‘공공책임론’은 오히려 힘을 얻고 있다.

 

노동계 역시 공조 움직임을 보였다. 민주노총은 “홈플러스는 2만여 명의 직접고용 인력과 20만명 이상 협력업체 종사자의 생계를 책임지는 유통기업”이라며 “정부와 농협이 공공적 책임 의식을 갖고 고용안정과 유통망 유지를 위한 인수·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홈플러스 기업회생으로 노동자들이 벼랑 끝에 몰렸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정부와 농협의 개입”이라고 밝혔다.

 

정치권과 노동계의 연대에는 현실적 위기감이 깔려 있다. 홈플러스는 연간 2조원 규모의 국산 농축산물 유통을 담당하며, 농협과의 거래 규모만 4000억원이 넘는다. 청산 시 생산자·유통업체·소비자 모두 피해를 입게 되는 구조다.

 

전문가들은 농협의 산지 공급망과 홈플러스의 도심 판매망이 결합하면 유통비용을 30~40% 절감할 수 있어 공공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한 유통전문가는 “농협이 손대면 흑자, 외면하면 모두 적자라는 말이 현실이 될 수 있다”며 “지금은 재무논리보다 사회적 관점의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현재 홈플러스 인수의향서 접수 마감은 이달 말로, 일주일도 남지 않았다.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은 내달 10일이지만, 그 전에 인수 주체가 확정돼야 정상적인 회생 절차가 가능하다. 정치권과 노동계가 한목소리로 “공익적 인수 검토”를 촉구하는 가운데, 농협이 어떤 결단을 내릴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솥도시락, ‘돼지고기’ 앞세운 단백질 강화 메뉴로 시장 공략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단백질의 중요성이 강조되며 관련 제품의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국내 단백질 식품 시장은 2018년 813억 원 규모에서 2023년 4000억 원 수준으로 성장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주요 단백질 공급원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기존에는 닭가슴살과

2

무신사 트레이딩, ‘영등포 타임스퀘어’에 디키즈 숍인숍 매장 오픈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무신사 브랜드 비즈니스 전문 자회사 ‘무신사 트레이딩(MUSINSA TRADING)’이 공식 유통하는 글로벌 워크웨어 브랜드 ‘디키즈(Dickies)’가 서울 영등포 타임스퀘어 3층에 신규 매장을 선보인다. 무신사 트레이딩은 지난 2024년부터 국내에 디키즈를 본격적으로 유통하며 브랜드 헤리티지를 바탕으로 현지 시장에 맞춘 상품 기획

3

리복, 글로벌 피트니스 커뮤니티 ‘F45 트레이닝’과 파트너십 체결
[메가경제=심영범 기자]LF가 전개하는 글로벌 스포츠 브랜드 ‘리복(Reebok)’은 글로벌 피트니스 브랜드 ‘F45 트레이닝(이하 F45)’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F45는 호주에서 시작해 전 세계로 빠르게 확장 중인 글로벌 피트니스 브랜드로, 45분간의 팀 기반 운동을 통해 근력, 심폐 지구력, 신체 밸런스를 향상시키는 기능성 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