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 자산건전성 저해 우려 메시지 받아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보험사들이 2023회계연도(FY2023) 역대급 실적을 올리면서 이에 상당한 임직원 성과급과 주주 배당금을 지급하려고 했다가 금융감독원의 경고에 제동이 걸렸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 16일 보험사 CFO(최고재무책임자)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과도한 성과급 및 배당에 대해 경영 건전성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 |
▲보험사들이 FY2023에 역대급 실적을 올린 만큼 이에 상당한 임직원 성과급과 주주 배당금을 지급하려고 하다가 금융감독원의 직접 경고로 제동이 걸렸다. 금융감독원 본부 석판 자료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
금감원은 이 자리에서 지난해 국제회계기준인 IFRS-17을 도입한 뒤 오는 6월말 2023회계연도로 첫 결산 시점을 맞게 되는 만큼 보험사들이 관련 업무를 철저히 수행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지난해 보험사들을 상대로 미실현 이익의 변동성 문제를 거론하면서 배당 정책 관리를 당부했는데 사실상 배당 지급액 축소를 요구한 바 있다. 반면 보험사 CFO들은 보험사의 수익구조는 예대마진에 의존하는 은행들과는 다르다며 반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각사 CFO들은 IFRS-17로 회계기준 변경에 따른 변동성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으며 배당에 대해서는 분위기를 살피겠다고 답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해 보험업계에서는 성과급과 배당정책 등에 대한 금융당국의 과도한 경영개입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적법절차를 거쳐 미리 책정된 회사의 성과급 재원 안에서 결정되고 임직원에 대한 실적평가에 따라 지급률과 액수가 결정되는 보험업계 시스템을 당국에서 무시한다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따라서 금감원의 요구를 수용해 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 등 손해보험 ‘빅4’와 삼성생명·한화생명·교보생명 등 생명보험 ‘빅3’가 성과급 규모를 축소할지가 관심사로 떠올랐다.
당장 이달 안에 삼성화재가 연봉의 45∼50%, 삼성생명의 경우 25∼29%의 성과급을 지급하려던 계획이 예정대로 진행될지 주목된다. 임직원에게 전년 연봉의 60%를 성과급으로 지급한 바 있는 메리츠화재의 성과급 인상도 당국의 경고에 따라 영향을 받을 것인지도 관심거리다.
이 같이 엇갈리는 인식은 금융당국이 지난해 보험사들의 역대급 실적을 회계기준 변경에 따른 장부상 이익 확대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로 이번 CFO 간담회에서는 당국의 이런 인식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작년 3분기말 기준 53개 내국 보험사의 누적 당기순익이 11조4225억원으로 2022년 같은 분기보다 47.2% 늘었는데 이는 회계기준 변경으로 인한 회계상 이익 증가라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영업 활성화로 인한 수익 증대가 아니라며 보험사 건전성에 의문을 제기한 셈이다.
그러나 보험사 성과급 체계는 임직원 실적평가에 따르기 때문에 일괄 연봉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닌 만큼 과도한 경영개입이란 인상을 지울 수 없다는 것도 현실이다. 더욱이 배당을 축소하는 문제는 주주 이익을 고려해야 하는 사기업으로서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당국이 건전성을 문제 삼았으나 M&A시장에 매물로 출회된 일부 부실사를 뺀 대부분 보험사의 지급여력이 기준치를 훨씬 웃돌아 건전성 우려에 대한 업계 반응은 일단 냉소적이다.
따라서 사기업인 보험사의 실적에 따른 성과급과 주주 배당까지 개입해 사실상 지급을 축소하라는 금융당국의 요구가 각 보험사에서 받아 들여질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