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트페어링' 최시원, 러브라인 과몰입한 본인 표정에 "저 정도일 줄은..."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3-20 15:07:16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과몰입한 내 표정, 저 정도일 줄은…”

 

채널A ‘하트페어링’의 MC인 슈퍼주니어 최시원이 입주자 7인의 러브라인 서사에 과몰입한 자신의 표정에 ‘셀프 객관화’ 멘트를 내뱉어 스튜디오를 웃음바다로 만든다.

 

▲'하트페어링' 3회에서 1:1 밀착 데이트가 진행된다. [사진=채널A]

 

21일(금) 밤 3회를 방송하는 ‘하트페어링’에서는 이탈리아 토스카나에 마련된 ‘페어링하우스’에서 4일 차를 맞은 입주자 7인 우재-제연-지민-지원-찬형-창환-하늘이, “서로를 조금 더 깊게 알아갈 시간이 필요하다”라는 의견에 공감하며 1대1 밀착 데이트를 진행하는 현장이 담긴다.

 

먼저 이날 오프닝에서 최시원은 ‘하트페어링’ 방송을 모니터링한 소감에 대해, “방송에 과몰입했을 때의 내 모습에 깜짝 놀랐다”라며 “내가 봐도 과할 정도의 표정을 짓더라, 저 정도일 줄은 몰랐다”라고 말을 잇지 못해 웃음을 선사한다. 이에 윤종신은 “그중에서도 조금 더 과몰입하는 사람이 있던데?”라고 날카롭게 묻는데, 최시원은 지난 2회 방송에서 지민에게 데이트를 신청했지만 ‘간접 거절’ 당한 지원을 곧바로 꼽은 뒤, “한결같이 응원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최시원의 ‘최애 출연자’ 고백에, 오마이걸 미미 또한 “나는 찬형 씨가 마음에 들더라”라고 솔직히 말하면서, “이틀 연속 페어링에 성공한 하늘 씨와 꼭 잘 되었으면 좋겠다”라고 진심 어린 응원을 건넨다.

 

시작부터 훈훈한 분위기 속, ‘페어링하우스’에서의 4일 차 일정이 공개된다. 전날 밤 남자 입주자 지민-우재-찬형-창환은 “1:1로 대화할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대를 이룬 뒤, 이날 아침부터 자신의 관심 상대에게 데이트 신청을 하기 위해 바쁘게 움직인다. 남자는 네 명, 여자는 세 명이라 남자 입주자 한 명은 반드시 데이트를 못 하게 되는 상황에서, 치열한 눈치 싸움이 펼쳐진 1:1 데이트의 매칭 결과에 궁금증이 모인다.

 

그런가 하면 남자들의 데이트 신청 과정에서는 생각보다 거센 도발과 견제가 벌어져 긴장감을 드높인다. 아슬아슬한 상황을 지켜보던 윤종신은 “한 사람 입장에서 되게 거슬릴 수 있다”라는 의견을 전하고, 최시원은 “이미 두 사람은 마음속으로 세 번 정도 스파링한 상태”라며 두 남자의 심리를 열혈 분석한다. 한 여자를 두고 벌어진 ‘신경전’의 주인공을 비롯해, 이들 중 데이트 신청에 성공한 사람은 누구일지에 초미의 관심이 쏠린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GS리테일, ‘자원순환의 날’ 국무총리표창 수상…ESG 경영 강화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GS리테일이 자원순환 활동 성과를 인정받아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했다.GS리테일(대표이사 허서홍)은 5일 전북 김제시 김제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17회 ‘자원순환의 날’ 기념행사에서 자원순환 실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무총리표창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수상은 2022년과 2023년에 환경부 장관상을 수상한 데 이어 3년 연속 성과

2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3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