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도입 직원 동 100% 받았다더니, 미 서명 직원 수두룩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장류 제조·판매업체 샘표식품(이하 샘표)이 영업사원들을 대상으로 업무 효율성을 높일 목적으로 신규 'GPS 연동 주행 기록'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인데 내부 잡음이 무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영업사원들이 사생활 침해 및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우려가 크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샘표식품은 이미 영업 차량에 OBD(실시간 자동차 위치 추적기)를 부착해 주행 기록을 수집하고 있으며, 이를 실비 정산 목적으로 사용한다고 설명해왔다. 하지만 일부 직원들은 회사가 해당 데이터를 활용해 업무를 감시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GPS 기능까지 추가되면서 동선 추적이 더욱 세밀해졌고, 직원들의 반발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 |
▲ 샘표가 영업사원들을 대상으로 신규 영업활동 프로그램과 'GPS 연동 주행 기록'시스템을 내놓자, 일부직원들이 사행활 침해 우려가 높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사진=제보자] |
앞서 샘표는 지난달 6일 전 직원 대상 화상회의를 통해 신규 ‘영업활동 프로그램’과 'GPS 연동 주행 기록' 시스템에 대한 설명회를 진행했다.
회사는 이 시스템을 통해 거래처 방문 여부를 확인하고, 영업 사원의 동선을 투명하게 관리함으로써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지만, 일부 직원들 사이에서는 새로운 시스템이 업무 효율화라는 명분으로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음은 물론 과도한 감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샘표 관계자는 "영업사원들은 회사나 대리점으로 출근하지 않고 현장으로 직접 출근하는 경우가 많아 직원들의 근태관리를 위해 이 같은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라면서 "또 유류비 등을 정산하기 위해 이 시스템을 운용해야 직원들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일부 직원들의 반발이 있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나, 영업 효율성 측면에서는 이 같은 시스템을 도입해 운영하는 것이 합당하다"면서 "일각에서 제기되는 개인정보나 사생활 침해는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일부 직원들은 회사가 주유비 등의 실비 정산 목적으로 이 시스템을 활용한다고 설명했으나, 실제로는 업무 감시 및 실적 압박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샘표의 한 영업사원은 "거래처를 방문해 업무를 본 시간과 일일 보고 내용이 적합한지에 대해서도 점검하고 있다"면서 "예를 들어 이 업무를 진행하는 데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렸는지까지 일일이 확인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직원은 "영업용 자동차 시동을 끄면 OBD프로그램이 작동하지 않는데, 15분이 경과하면 무슨 일을 했는지 보고해야 한다"면서 "휴게소 화장실에 들러 급한 일을 봐야 할 때도 보고해야 하는 말도 안 되는 상황이 벌어진다"고 하소연했다.
한편 샘표는 신규 시스템 운용을 앞두고 전 직원에게 개인정보 동의를 받았다고 언급했지만, 메가경제 취재 결과 일부 영업사원들은 동의서에 서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가 업무 효율을 이유로 GPS 추적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직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개인정보 보호법 및 위치정보보호법 위반에 해당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 샘표가 내놓은 SFA(Sales Force Automation) 앱은 직원들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 업무 보고가 불가능한 시스템으로 설계돼 있어 사실상 반강제적으로 직원들이 동의 버튼을 눌러야 한다.
한 영업사원은 "이 시스템을 사용하려면 실질적으로 GPS 추적을 수용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개인정보는 물론 사생활 침해 우려가 높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