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간이 기지국 증설 및 현장 인력 배치로 만전
[메가경제=신승민 기자] 내일(14일)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 2차 탄핵소추안 표결을 앞두고 이동통신 3사가 대규모 집회로 인한 통신 장애를 예방하기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섰다.
![]() |
▲ 지난 7일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윤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려 많은 인파가 몰렸다. [사진=연합뉴스] |
13일 업계와 메가경제의 취재에 따르면 지난 7일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대규모 집회에서는 예상치를 넘는 인파가 몰리며 통신망이 과부하 상태에 빠졌다. 일부 지역에서는 전화 연결이 끊기고 데이터 전송이 지연되는 등 불편이 발생했다.
서울시와 KT가 협력해 산출한 생활인구 데이터에 따르면 이날 탄핵안 표결 시간대인 오후 5시 경 여의도 일대에는 약 37만 명이 모였다. 경찰은 약 15만 9천 명, 주최 측은 최대 100만 명이 집회 장소에 몰렸다고 추산했다. 서울 광화문 일대에도 100만명에 달하는 시민들이 모여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이날 집회에 방문한 A 시민은 “전화가 터지지 않아 약속 장소에서 일행을 만나지 못했고,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어 탄핵 표결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어려웠다”며 불편을 호소했다.
이번 주말에도 2차 집회가 예고된 상황에서 서울시는 지난 9일 이동통신사에 이동기지국 증설과 대체 통신망 마련을 요청하며 협조를 당부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2일 KT 네트워크 관제센터를 방문해 트래픽 급증과 통신 장애 예방 대책을 점검하며 “통신 장애로 국민들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신 3사는 이번 집회에 대비해 기존 대비책을 대폭 강화했다. 이동기지국은 기존 21대에서 36대로, 간이 기지국은 5대에서 39대로 증설된다. 여의도에는 추가적으로 기지국 장비 133식이 설치되며 현장 대응 인력도 늘릴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통신 장애 발생이 우려되면 이에 대응하기 위한 기본계획을 세우는 것이 원칙이다"라며, "통신사들의 보고를 받아 불편사항을 파악했고, 통신사의 전문 의견에 따라 기지국을 증설해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통신사 관계자는 “정부 요청과 고객 불편 사항을 반영해 통신망 용량 증설과 트래픽 모니터링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14일 여의도와 광화문 일대에서 열릴 예정인 2차 탄핵 찬반 집회에는 지난 주말보다 더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돼 통신망의 안정적인 운영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