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신승민 기자]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13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 맥에너리 컨벤션센터에서 개막하는 '디스플레이 위크 2025(SID 2025)' 전시회에 나란히 참가해 OLED 기술력을 과시한다.
SID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기업과 전문가들이 모여 신기술을 공유하고 미래 기술을 조망하는 세계 최대 디스플레이 행사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업계 최초로 비 카드뮴 고휘도 '전계발광 퀀텀닷(Electroluminescence Quantum Dot, 이하 EL-QD)'와 5000PPI RGB 올레도스 등 혁신 제품을 전시한다.
EL-QD는 OLED 없이 전기신호가 직접 QD로 구성된 R·G·B 픽셀을 빛내는 전계발광 방식으로, QD 특유의 장점인 뛰어난 '색 정확도'를 더욱 극대화하는 동시에 전력 소비도 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이번에 선보이는 EL-QD는 400니트 고휘도 제품과 264PPI 고해상도 제품 두 가지이다.
올해 초 국제 학술지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에 소개된 '센서 OLED 디스플레이' 기술도 이번에 실물로 전시된다. 센서 OLED 디스플레이는 특정 부분이 아닌 화면 전체에서 지문을 인식하고, 빛으로 혈류량을 측정해 심혈관 건강 상태까지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다.
RGB 올레도스 중 업계 최고 해상도를 구현한 5,000PPI 제품도 이번 전시를 통해 처음으로 선보인다. 크기는 1.4형 초소형으로 손목시계 화면만큼 작지만 8K TV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췄다. 화면 밝기가 20,000니트(4,200PPI)에 달하는 RGB 올레도스도 최초 공개한다. 이 제품은 기존 업계에서 발표한 RGB 올레도스 중 최고 밝기를 자랑한다.
혁신적인 폼팩터 제품들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지난해 공개된 마이크로LED 기반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대표적이며, '플렉시블 브리프케이스', '폴리건 폴더블)' 등 독특한 콘셉트 제품도 살펴볼 수 있다.
이창희 디스플레이연구소장(부사장)은 "세계 유수의 석학들과 전문가들이 모인 자리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압도적인 기술력을 선보이게 돼 기쁘다"며 "앞으로도 학계, 시장과 적극 소통하며 고객이 원하는 솔루션을 가장 먼저 선보이며 기술의 변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LG디스플레이는 ‘미래를 만들어가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주제로 대형·중형·차량용을 아우르는OLED 풀라인업을 공개한다.
LG디스플레이는 전시장을 3개 존으로 나누어 대형 OLED 기술 진화를 비롯, 미래 모빌리티를 겨냥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설루션과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을 소개한다.
대형 OLED 존에서는 4세대 OLED 패널의 우수성과 이를 적용한 TV 및 게이밍 패널을 선보인다.
LG디스플레이의 4세대 OLED 패널은 RGB(적·녹·청)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아 빛을 내는 독자 기술인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를 적용했다. 이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휘도(화면 밝기) 4,000니트(nit, 1니트는 촛불 한 개의 밝기)를 달성했다.
이날 공개한 ‘4세대 OLED TV 패널’은 압도적 화질로 낮은 해상도의 콘텐츠를 고품질로 변환시키는 업스케일링 등 AI TV 기능을 구현한다.
‘27인치 게이밍 OLED’는 기존 3세대 OLED를 적용한 제품과 4세대OLED를 적용한 신제품을 비교 시연하여 더욱 개선된 휘도와 색 재현율 등 게이밍 OLED를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한다.
차량용 디스플레이 존에서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설루션과 P(플라스틱)-OLED, ATO(Advanced Thin OLED), 하이엔드 LTPS(저온다결정실리콘) LCD 등 LG디스플레이만의 차량용 디스플레이 풀라인업을 적용한 콘셉트카를 공개한다.
아울러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디스플레이’를 주제로 저소비 전력 기술 및 친환경 부품 적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공개한다. 전력 소모가 적은 LED 신기술을 적용한 ‘16인치 노트북용 네오 엘이디(Neo:LED) 패널’, 제품 무게의 41%를 친환경 소재로 제작한 ‘14인치 노트북용 패널’ 등을 소개한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최고기술책임자(CTO, 부사장)는 “미래 디스플레이 시장에서도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창출하며 기술 리더십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