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신한대와 캠퍼스 온실가스 감축 협약…“2050 탄소중립 실천”

김형규 / 기사승인 : 2022-10-07 15:45:45
  • -
  • +
  • 인쇄
캠퍼스 내 AI 딥러닝 기반 최적 에너지 알고리즘 적용

SK텔레콤은 환경부 사단법인 한국지속가능캠퍼스협회, 신한대학교와 ‘탄소중립 스마트에너지캠퍼스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스마트에너지캠퍼스 인프라를 구축해 범국가적으로 추진 중인 ‘2050 탄소중립’을 함께 실천한다는 취지다.
 

▲ 최진환 SKT 엔터프라이즈CIC장(왼쪽)과 강성종 총장이 협약식에서 함께한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협약식은 지난 6일 오후 경기도 의정부 신한대학교 믿음관에서 최진환 SKT 엔터프라이즈CIC장과 강성종 한국지속가능캠퍼스협회장(겸 신한대학교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3개 기업·단체는 ▲탄소중립 스마트에너지캠퍼스 구축 ▲스마트에너지 플랫폼 구축 ▲에너지 인프라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협력에 나설 계획이다.

또 친환경 에너지 비즈니스 모델 발굴과 지속 가능 발전 분야 연구‧개발 등도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SKT‧신한대학교는 캠퍼스 건물의 에너지 관리 장비를 고효율 장비로 교체한다. AI 딥러닝 기반 최적 에너지 알고리즘을 적용해 캠퍼스 내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을 집중적으로 추진해갈 계획이다.

신한대학교는 지난 2019년 강성종 총장 취임 후 디지털 혁신 정책 수립을 통해 참여형 스마트 대학 캠퍼스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위해 ‘ICT‧IoT 캠퍼스 위원회’와 ‘스마트캠퍼스 구축단’을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SKT는 지능형 검침 인프라(AMI), 재생 에너지를 통합 관리하는 가상 발전소(VPP) 서비스, 빌딩이나 공장의 에너지 효율화 서비스, 에너지 소비가 많은 데이터 센터와 통신 국사에 특화된 에너지 절감 솔루션 및 통합 관리 솔루션(DCIM) 등을 개발해왔다.

최진환 SKT 엔터프라이즈CIC장은 “이번 탄소중립 스마트에너지캠퍼스 구축 사업을 계기로 SKT가 보유한 AI 에너지 솔루션과 다양한 ICT 인프라를 통해 산업‧기술 혁신의 요람인 캠퍼스에 새로운 디지털 혁신을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강성종 총장은 “앞으로 캠퍼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수집·분석·활용해 엔데믹 시대 대학의 교육·연구·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혁신을 통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