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 소재 유럽 최대 반도체 연구소 imec 찾아 CEO와 회동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14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의 ASML 본사를 방문해 피터 베닝크 CEO와 마틴 반 덴 브링크 CTO 등 경영진을 만나 양사 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부회장과 ASML 경영진은 ▲미래 반도체 기술 트렌드 ▲반도체 시장 전망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의 원활한 수급 방안 ▲양사 중장기 사업 방향 등에 대해 협의했다.
![]()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가운데)이 14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의 ASML 본사에서 피터 베닝크 ASML CEO(왼쪽), 마틴 반 덴 브링크 ASML CTO(오른쪽)와 함께한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
ASML은 반도체 초미세 공정에 필수인 EUV 노광장비를 글로벌 시장에서 사실상 독점 생산하고 있는 업체다. EUV 노광장비는 1대당 가격이 1500~2000억 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 장비는 업계 수요에 비해 연간 생산량이 적어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들이 공급량 확보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기로 유명하다.
이 부회장은 같은 날 앞서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마르크 뤼터 총리와 만나서도 ASML 장비의 안정적인 공급에 대해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지난 2020년 10월 이후 약 20개월 만에 ASML 본사를 찾았다. 이번 미팅에는 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이 함께했다.
삼성의 반도체 분야를 담당하는 DS부문은 최근 이 부회장의 유럽 출장 직전 대규모 임원 인사가 이뤄진 바 있어 그룹 내 반도체 경영 쇄신에 더욱 힘을 쏟는 모양새다.
반도체 사업의 필수 요소인 EUV 노광장비 수급을 논하는 이번 자리에 경 부문장이 전문성을 보탰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온다.
![]()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에서 두 번째)이 14일(현지시간) 네덜란드 에인트호번의 ASML 본사에서 피터 베닝크 ASML CEO, 마틴 반 덴 브링크 ASML CTO 등과 함께 반도체 장비를 점검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
삼성과 ASML의 관계는 앞서 2000년대부터 이어져 왔다. 양사는 반도체 제조 공정과 장비 개발 분야에서 협력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장비는 유지보수가 지속해서 필요하므로 EUV 노광장비를 세계에서 유일하게 생산하는 ASML과의 협력관계가 필수”라고 설명했다.
삼성은 반도체 연구개발과 투자 확대, ASML과의 기술 협력 강화 등을 통해 EUV를 비롯한 차세대 반도체 생산 기술을 고도화시킨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파운드리 분야 경쟁력을 키우고 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초격차'도 더욱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오른쪽)이 15일(현지시간) 벨기에 루벤의 imec을 방문해 루크 반 덴 호브 imec CEO(왼쪽)와 연구개발 현장을 살펴보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제공] |
한편 이 부회장은 네덜란드 ASML에 이어 지난 15일 벨기에 루벤의 종합반도체 연구소 imec를 방문했다. imec은 종합반도체 연구소로서는 유럽 최대 규모라고 알려져 있다.
그는 이곳에서 루크 반 덴 호브 CEO와 만나 반도체 분야 최신 기술과 연구개발 방향 등을 논의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부회장은 최첨단 반도체 공정기술 외에도 인공지능‧생명과학, 미래 에너지 등 imec에서 진행 중인 첨단분야 연구과제에 대한 소개를 받고 연구개발 현장을 살펴보기도 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