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27일 사의를 표명했고 문 대통령은 이를 즉각 수용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기표 비서관은 투기 목적으로 부동산을 취득한 게 아니더라도 국민이 바라는 공직자의 도리와 사회적 책임감을 감안할 때 더이상 국정운영에 부담이 돼서는 안된다는 뜻을 밝혔다"며 사의 표명의 배경을 설명했다.
이로써 김 비서관은 지난 3월 31일 임명된 지 3개월이 채 못돼 비서관 자리에서 물러났다.
![]() |
▲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는 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27일 사의를 표명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이를 즉각 수용했다. [사진=연합뉴스] |
이번 논란은 지난 3월 임명된 김 비서관의 재산이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재산등록사항을 통해 지난주 공개되면서 비롯됐다.
이후 김 비서관은 50억 원대의 은행 빚을 내 상가를 취득하고, 개발지역 인근에 임야를 사들인 것이 통상적인 부동산 취득 경위와 거리가 있어 보인다는 의혹을 샀다.
신고내용에 따르면 김 비서관은 39억2천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그런데 이중 부동산 재산은 91억2천만원, 금융 채무는 56억2천만원에 달했다.
이에 김 비서관은 ’영끌 빚투‘ 논란에 직면했다. 김 비서관은 3개 금융기관에서 총 54억6천만원을 대출받은 것으로 신고했다. 은행 빚의 대부분은 서울 강서구 마곡동 소재 상가 2채(65억원5천만원 상당)를 사들이는 데 쓰였을 것으로 추정됐다.
4900만원 상당의 경기도 광주 송정동 임야를 놓고 투기 의혹도 일었다. 이 임야는 도로가 연결돼있지 않은 '맹지'(盲地)이지만, 송정지구 개발로 신축 중인 아파트·빌라 단지와 인접해 있다.
김 비서관은 전날 투기 의혹에 대해 "해당 토지는 광주시 도시계획조례로 인해 도로가 개설돼도 개발 행위가 불가능한 지역이고, 자금 사정이 좋지 않던 지인의 요청으로 부득이하게 취득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오해를 드려 대단히 송구하다. 광주 토지 등을 신속히 처분하고자 협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국민이 납득할 수준의 해명에 이르지 못한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결국 야당의 경질 요구가 잇따른데다 여당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등 비판 여론이 확산했고, 결국 김 비서관의 사의 표명과 문 대통령의 즉각 수용으로 이어졌다. 이 때문에 사실상 경질로 받아들여진다.
김 비서관이 사임하는 과정에 민주당 송영길 대표의 신속한 거취 정리 건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송 대표는 취임 후 이른바 '부동산 내로남불' 프레임을 불식하기 위해 각종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터진 청와대발 악재로 당의 노력이 수포가 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청와대에 전달했다는 것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 매체와의 통화에서 "송 대표가 어제(26일) 정무수석, 소통라인 등 청와대의 다양한 라인에 직·간접적으로 이번 사안의 심각성과 함께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는 강력한 우려를 표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김 비서관의 거취 문제를 "빨리 정리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달했다는 것이다.
김 비서관 논란은 일단 자진사퇴 형식으로 정리됐지만 청와대의 검증시스템 부실 문제가 다시 불거지고 여권의 ’부동산 내로남불‘ 논란도 재현되는 모양새다.
[메가경제=류수근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