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00대 기업 임원 수, 코로나19 한파에 10년 전 수준 돌아가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10-20 18:06:44
  • -
  • +
  • 인쇄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올해 국내 100대 기업의 임원 수가 10년 전 수준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70년대생 임원 비율이 처음으로 30%대를 돌파하며 세대교체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자료=유니코써치 제공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가 국내 상장사 중 매출액 상위 100곳의 반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임원 수는 지난해보다 207명이 감소한 6664명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2년 새 268명의 임원이 짐을 싼 것이다.

김혜양 유니코써치 대표는 “올해로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2년 차에 접어들면서 유통업체 등을 중심으로 긴축 경영을 하려는 경향이 강해져 임원 수를 줄이는 기업들이 많아졌다”면서 “올 연말부터 발표될 2022년 임원 인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임원 수가 소폭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올해 100대 기업 임원 중 CEO급에 해당하는 사내이사 등기임원은 총 324명으로 파악됐다. 이들 가운데 1960~1964년에 출생한 세대가 절반 가까이 차지하면서 가장 많았다.

이 중 1962년생 출생자는 35명으로,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을 비롯해 한종희 삼성전자 사장, 하언태·장재훈 현대차 대표, 송호성 기아 대표, 고정석·오세철 삼성물산 대표, 박종욱 KT 사장, 우기홍 대한항공 대표, 황현식 LG유플러스 대표, 황성우 삼성SDS 대표 등이다.

1970년 이후 출생한 등기임원 중에서 1970년생은 정의선 현대차 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등 16명으로 가장 많았다. 

 

▲ 자료=유니코써치 제공

임원들의 세대교체 경향도 나타났다.

100대 기업 내 1960년대생 임원 비중은 2018년 76.4%에서 2019년 74.1%, 지난해 68.7%, 올해 62.9%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조사 대상 대표이사 가운데 최연장자는 1939년생인 손경식 CJ제일제당 회장이며, 최연소는 1983년생인 김동관 한화솔루션 사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미등기임원까지 조사 범위를 넓히면, 정재림 KCC 이사대우와 정두선 현대종합상사 상무가 1990년생으로 100대 기업 임원 중 최연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리온, ‘진천통합센터 착공식’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오리온은 23일 충청북도 진천군 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에서 '오리온 진천통합센터 착공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이날 착공식에는 이복원 충청북도 경제부지사와 송기섭 진천군수, 허인철 오리온그룹 부회장과 이승준 오리온 대표이사 및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오리온은 미국, 유럽 등의 글로벌 수출 전진기지가 될 진천통합센터에 총

2

왁, ‘한국 전통 콘셉트’ 롯데백화점 본점 팝업스토어 운영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컨템포러리 퍼포먼스 골프웨어 브랜드 왁(WAAC)이 한국 전통의 미를 인테리어 콘셉트로 반영한 팝업스토어를 롯데백화점 본점 6층에서 운영한다고 23일 밝혔다. 팝업스토어는 내년 1월 30일까지 운영된다. 최근 한국 문화를 소재로 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으며 K-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왁은 1

3

에스알, APEC 정상회의 앞두고 ‘철도시설·치안 점검 강화’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SRT 운영사 에스알은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22일 철도특별사법경찰대와 함께 역사 및 철도시설을 대상으로 합동 순회점검을 펼치며 철도안전 강화에 본격 나섰다. 이날 점검은 대규모 국제행사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테러·화재 등 재난 위험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진행됐다. 에스알과 철도경찰은 SRT 주요 정차역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