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2040년 주요 글로벌 시장서 모든 차량 전동화”...2045년 탄소중립 제시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11-11 18:26:15
  • -
  • +
  • 인쇄
더 기아 콘셉트 EV9 프리뷰 이미지 공개

기아는 11일 기업 비전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 발표와 함께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추진 과제로 ‘2045년 탄소중립’을 제시했다.

기아는 이날 온라인으로 진행한 ‘기아 서스테이너빌리티 무브먼트’ 행사에서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을 통해 고객과 공동체, 글로벌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는 내용의 비전을 발표했다. 아울러 2040년엔 모든 주요 시장의 차량을 100% 전동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기아 기업 비전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 [기아 제공]

 

기업 비전의 기본 전제인 2045년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기아는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지속가능한 지구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지향점으로 삼고 탄소배출 감축‧상쇄에 나서기로 했다.

기아는 오는 2045년까지 탄소배출량을 지난 2019년 수준 대비 97%까지 감축하고 적극적인 상쇄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자동차의 사용 단계는 물론 공급‧생산‧물류‧폐기 등 생태계 전 단계에 걸쳐 순 배출량을 제로(0)화 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기아는 오는 2035년 유럽 시장을 시작으로 제품군 전체 전동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어 오는 2040년에는 주요 시장에서 판매하는 모든 모델을 전동화 차량으로만 구성해 차량 운행 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없앤다는 계획이다.
 

▲ 송호성 기아 사장이 온라인 발표회에서 기업비전 및 ‘2045년 탄소중립’ 전략을 공개하는 모습 [기아 제공]

 

송호성 기아 사장은 이날 비전 발표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겠다”며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기아의 비전은 설정한 목표에 도달하는 것을 넘어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한편 기아는 이날 비전 발표회에서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에 기반한 두 번째 모델 ‘EV9’의 콘셉트 ‘더 기아 콘셉트 EV9’의 프리뷰 이미지를 공개했다.
 

▲ ‘더기아 콘셉트 EV9의 프리뷰 이미지 [기아 제공]

 

EV9 콘셉트는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실현에 대한 기아의 강한 의지를 상징한다. 자연으로부터 영감을 얻은 디자인과 바다 폐기물을 업사이클링(Upcycling)한 소재가 특징이다.

더 기아 콘셉트 EV9의 실차는 오는 17일(현지시간) ‘오토모빌리티 LA’에서 처음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부산 광안리, 주민·관광객 함께 즐기는 골목상권 축제 ‘남천바다로 가는 길’ 9월·10월 두 차례 개최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의 골목상권 활성화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광안리 세흥시장~광리단길 일대에서 ‘남천바다로 가는 길’ 행사가 9월과 10월 두 차례 열린다. 상인회 소속 개성 있는 상점들이 참여해,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특별한 소비 경험을 선사한다. 부산 수영구 남천바다로에 위치한 해당 골목 상권은 '남천바다로

2

IBK기업은행, ‘NFT지갑 서비스’ 시범 운영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산에 발맞춰 ‘NFT(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지갑 서비스’를 시범 운영한다고 9일 밝혔다. ‘NFT지갑 서비스’는 고유성과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는 디지털자산인 NFT를 보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서비스다. 기업은행은 고객들이 직접 NFT 자산을 관리하고

3

잇다컴퍼니, ‘춘천버디즈’ 캐릭터로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 참가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강원도의 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잇다컴퍼니는 지역 기반 IP 사업으로 춘천을 브랜딩하는 팀, ‘춘천버디즈’를 선보이며 지난 7월 17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캐릭터라이선싱페어 2025’에 참가해 성황리에 전시를 마쳤다. 이번 전시는 강원정보문화산업진흥원 강원콘텐츠코리아랩의 지원으로 진행된 ‘2025년 국내 전시회 공동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