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정보종합] 밀양서 3.5규모 지진 발생, 7월 상주 지진 이어 올해 남한 2위...올해 4.0이상 2건, 3.0이상 14건, 2.0이상 88건 한반도서 발생

유지훈 / 기사승인 : 2019-12-30 11:39:40
  • -
  • +
  • 인쇄

[메가경제 유지훈 기자] 한반도가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은 이제는 너무 당연한 현실이 됐다. 규모 3.0이 넘는 지진이 또 한 차례 발생했다.


기상청은 30일 0시 32분 8초에 경남 밀양시 동북동쪽 15㎞ 지역에서 규모 3.5의 지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정확한 지점은 북위 35.56도, 동경 128.90 지점이며 발생깊이는 20㎞였다.


지역별 관측장비에서 기록하는 계기진도는 경남·경북·울산에서 4로 가장 높았고, 부산이 3, 대구가 2를 기록했다.


계기진도4는 실내에서 많은 사람이 느끼고 밤에는 잠에서 깨기도 하며 그릇과 창문등이 흔들리는 정도다.



[사진 출처= 기상청]
30일 0시 32분 8초에 경남 밀양시 동북동쪽 15㎞ 지역에서 규모 3.5의 지진이 발생했다. [사진출처= 기상청]



30일 오전 11시 현재, 올해 한반도 내륙과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2.0 이상의 지진은 총 88건이며, 이번 밀양 지진은 규모로는 올해 7위에 해당한다.


이날 첫 지진 후 14분 후인 0시 46분과 1시간 12분 후인 오전 1시 44분에는 각각 규모 1.6, 2.1의 여진이 기록됐다


규모 2.1의 여진은 1시44분02초에 밀양시 동북동쪽 15㎞ 지역(위도 북위 35.56, 동경 128.90), 발생깊이 19㎞ 지점에서 일어났다.


이 여진은 경남, 경북, 울산 지역에서 계기진도2의 흔들림을 기록했다. 계기진도2는 조용한 상태나 건물 위층에 있는 소수의 사람만 느끼는 정도다.


올해 한반도 일대에서 발생한 규모 2.0이상의 지진(총 88회)은 2018년 115건, 2017년 223건, 2016년 252건과 비교하면 횟수는 크게 줄었다.


올해 한반도 내륙에서는 모두 45건이 일어났고, 이번 밀양 지진은 내륙 지진 중 규모로는 3위에 해당한다. 남한 지역으로만 한정하면 2위다.


내륙에서는 6월 27일 황해북도 송림 북동쪽 9km 지역과, 7월 21일 경상북도 상주 북북서쪽 11km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이 각각 규모 3.9로 가장 강했다.



[사진출처= 기상청]
30일 발생한 규모 3.5 발생지역과 기계진도 현황. [사진출처= 기상청]


올해 규모 4.0 이상 지진은 동해상에서 발생한 2건이었다.


2월 10일 경북 포항시 북구 동북동쪽 50km 해역에서 규모 4.1의 지진이 일어난데 이어, 4월 19일에는 올해 한반도 지역에서 감지된 지진 중 최대 규모인 4.3의 지진이 강원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에서 발생했다.


규모 4.0이상의 지진은 2016년에는 4건, 2017년 2건, 2018년 1건이었다.


올해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3.0이상의 지진은 총 14회였고 그 중 5회는 북한쪽에서 일어났다.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최대 계기진도로는 4가 5회, 3이 13회였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기상청은 이날 밀양 지진으로 총 42건의 유감(감지)신고가 들어왔으며 경남에서 22건, 울산에서 12건이 있었다고 밝혔다. 대구와 부산에서도 각각 3건이, 경북에서도 2건이 들어왔다.


경남소방본부와 부산소방재난본부에는 지진을 감지했다는 주민들의 신고가 이어졌으나 다행히 피해 신고는 없었다.


■ 2019년 한반도에서 발생한 규모 3.0이상의 지진일지 (자료출처= 기상청)


- 1월 1일 규모3.1, 진도3, 경북 영덕군 동북동쪽 29km 해역


- 1월 9일 규모3.7, 진도1, 인천 옹진군 백령도 남남서쪽 76km 해역


- 2월 10일 규모4.1, 진도3, 경북 포항시 북구 동북동쪽 50km 해역


- 4월 19일 규모4.3, 진도4, 강원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4월 22일 규모3.8, 진도3, 강원 동해시 북동쪽 54km 해역


- 5월 16일 규모3.3, 진도1, 북한 평안남도 양덕 서남서쪽 16km 지역


- 6월 22일 규모3.4, 진도1, 북한 황해북도 송림 북동쪽 10km 지역


- 6월 23일 규모3.4, 진도1, 북한 황해북도 송림 북동쪽 10km 지역


- 6월 27일 규모3.9, 진도1, 북한 황해북도 송림 북동쪽 9km 지역


- 7월 21일 규모3.9, 진도4, 경북 상주시 북북서쪽 11km 지역


- 9월 21일 규모3.5, 진도2, 북한 강원 평강 북북서쪽 31km 지역


- 9월 22일 규모3.3, 진도2, 전남 신안군 흑산도 남남서쪽 62km 해역


-10월 27일 규모3.4, 진도4, 경남 창녕군 남쪽 15km 지역


-12월 30일 규모3.5, 진도4, 경남 밀양시 동북동쪽 15km 지역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유지훈
유지훈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보람그룹, 내달 8일 ‘전국파크골프대회’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보람그룹은 대한파크골프연맹과 함께 ‘제1회 보람그룹배 전국파크골프대회’를 개최한다고 10일 밝혔다. 시니어 세대의 일상 속 건강한 여가생활을 돕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이 회사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번 대회는 국민건강 증진과 파크골프 저변 확대, 건전한 여가문화 조성을 목표로 마련됐다. 오는 12월 8일 오전 9시 대구광역

2

무신사, 이른 추위에 겨울 슬리퍼 인기 급상승···퍼·패딩 슬리퍼 거래액 3.5배 ‘쑥’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무신사가 11월 1일부터 7일까지 일주일간의 카테고리 거래액을 분석한 결과, 방한화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120% 증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이 가운데 패딩·퍼 슬리퍼 거래액은 3.5배로 늘었다. 또한, 11월 첫째 주 무신사 주간 인기 상품 랭킹에도 퍼·플리스 안감이나 패딩 소재를 적용해 보온성을 높인 겨울용 신발이 다수 상위권

3

SPC삼립, 황종현 대표 사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SPC삼립은 황종현 대표이사가 사임한다고 10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기존 황종현, 김범수 각자 대표이사에서 김범수 대표이사 체제로 변경된다. SPC그룹은 지난 4일 고위직 인사를 통해 파리크라상 대표이사를 맡았던 경재형 부사장을 SPC삼립 대표이사로 내정했다. 경 수석부사장은 김범수 대표이사와 각자대표 체제로 SPC삼립을 운영할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