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상승률 둔화세 이어지나...가계 살림 통계 발표 임박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4-12-01 01:49:37
  • -
  • +
  • 인쇄
다음주 3분기 성장률 잠정치·10월 국제수지 발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다음 주(12월 2∼6일)에는 소득·소비·자산 등 우리나라 가계의 전반적 살림 형편을 짐작할 수 있는 조사 결과가 나온다.

 

아울러 최근 물가 지표와 대외 교역 성적표, 3분기 경제 성장률 잠정치 등도 공개된다.

 

▲[사진=연합뉴스][메가경제=윤중현 기자]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통계청은 3일 '11월 소비자물가동향' 통계를 발표한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둔화세가 뚜렷하다. 9월(1.6%) 1%대로 내려온 뒤 10월 1.3%까지 낮아졌다.

 

채소류를 비롯해 일부 품목을 제외하면 11월에도 전반적 물가 둔화세가 이어졌을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4일에는 국민 기대수명을 보여주는 '2023년 생명표'가 나온다. 생명표는 현재의 연령별 사망 수준이 유지된다면 특정 연령의 사람이 향후 몇 세까지 살 수 있는지 기대여명을 추정한 통계표다.

 

같은 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2월 세계경제전망'도 공개된다.

 

OECD는 지난 9월 전망에서 우리나라의 성장률을 2.5%로 전망한 바 있다. 최근 국내외 주요 연구기관들이 연간 성장률을 2%대 초반으로 하향 조정한 것을 고려하면, OECD의 성장 전망치도 0.3%포인트(p) 안팎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5일 공동 발표하는 '2024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도 관심사다.

 

우리나라 가계가 얼마나 벌고 얼마나 쓰는지, 자산과 이자 부담은 어느 정도인지, 노후 준비가 잘 되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통계다.

 

1년 전 같은 조사에서 작년 3월 말 기준으로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2727만원으로 전년보다 3.7% 감소했다.

 

한국은행은 5일 '3분기 국민소득(잠정)' 통계를 발표한다.

 

앞서 10월 24일 공개된 3분기 국민소득 속보치에서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대비)이 0.1%에 그쳐 충격을 줬다.

 

한은의 전망치(0.5%)를 크게 밑돌 뿐 아니라, 민간 소비 등 부진한 내수를 대신해 성장을 이끌던 수출마저 0.4% 뒷걸음치면서 경기 흐름에 대한 걱정이 커졌다.

 

속보치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9월 산업활동동향 등의 지표도 썩 좋은 편이 아니었던 만큼, 잠정치 성장률이 속보치를 크게 웃돌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한은은 6일 '10월 국제수지(잠정)'도 내놓는다.

 

9월의 경우 반도체·휴대전화 등위 수출 호조 덕에 경상수지가 111억2000만달러(약 15조580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

 

10월까지 6개월 연속 경상수지 흑자가 예상되지만, 수출 증가세 둔화 등으로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줄었을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