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N 제치고 게임주 대장된 ‘크래프톤’...상장 첫날 공모가 밑돌아 ‘호된 신고식’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8-11 03:42:11
  • -
  • +
  • 인쇄
상장 첫날 코스피 19위, 시총 22조로 증시 데뷔...공모가比 8.8%↓
장병규 의장, 주식평가액 3조 넘어 ‘벼락 재벌’...청약 불패 신화는 깨져

우여곡절 끝에 코스피에 입성한 크래프톤이 상장 첫날 넥슨, 넷마블, 엔씨소프트 등 ‘3N’을 제치고 게임업계 ‘대장주’ 자리를 꿰찼지만, 공모가를 밑돌면서 호된 신고식을 치렀다.

최근 대형 공모주들이 상장 후 ‘불패 신화’를 이어가면서 열풍을 일으켜왔지만, 이번 결과로 대세가 한풀 꺾일지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 크래프톤 유가증권시장 상장 [서울=연합뉴스]



‘배틀그라운드’로 유명한 게임사 크래프톤은 10일 코스피 시장에서 공모가 49만 8000원보다 8.84% 내린 45만 4000원에 장을 마쳤다.

시초가부터 하한선에 걸쳐 불안한 시작을 알렸다. 시초가는 공모가 90% 수준인 44만 8500원으로 결정돼 사실상 고평가 논란을 시장이 인정하는 셈이 됐다.

장 초반 매도 물량이 쏟아지면서 한때 10% 이상 내리며 40만 원대 붕괴 직전인 40만 500원까지 급락했다.

장중 약세를 보이던 주가는 장 막판 반등에 성공하면서 시초가보다 1.23% 오른 채 마감했다.

이날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22조 1997억 원으로 삼성전자 우선주를 제외한 코스피 19위에 올라섰다.

이는 크래프톤 상장 전까지 국내 게임사 대장주 자리에 올랐던 엔씨소프트(17조 8925억 원)를 단숨에 밀어내고, 2위 넷마블(11조 5607억 원)과는 무려 10조 원 이상 시총 격차를 벌리는 결과다. 일본 도쿄거래소에 상장된 넥슨(약 19조 8000억 원)보다도 주가가 높게 평가받았다.

하지만 상장 첫날 종가가 공모가보다 낮은 주식이라는 ‘불명예’를 피할 수는 없게 됐다.

 

▲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크래프톤은 상장 과정에서 각종 논란에 시달리며 가시밭길을 걸어야 했다.

금융감독원에 처음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공모가 산정 기준이 되는 비교회사로 국내외 게임사 외 월트 디즈니, 워너뮤직그룹 등 글로벌 콘텐츠 업체를 추가하자 ‘공모가 부풀리기’ 의혹이 곧장 불거졌다.

이후 금감원이 정정을 요구하자 크래프톤은 문제가 된 기업들을 제외하고, 희망 공모가 범위도 기존 45만 8000원~55만 7000원에서 40만 원~49만 8000원으로 크게 낮췄다.

‘원 게임 리스크’도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1분기 영업수익 중 96.7%가 ‘배틀 그라운드’ IP로 발생해 의존도가 절대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일반 공모 청약 마지막 날에는 때마침 중국발 게임 산업 규제 이슈가 터져 나와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높였다. 한 중국 관영 매체에서 게임을 ‘정신적 아편’이라고 비판하는 보도가 전해진 것이다.

크래프톤은 중국 내에서 텐센트를 통해 ‘배틀그라운드’를 서비스하는 정책을 펴고 있어 향후 게임 규제 리스크가 높아질 경우 타격이 불가피한 구조다.

이 같은 불안요소가 확대되면서 기관 수요예측과 일반 공모 청약에서도 연이은 부진을 겪으며 상장 후 주가 추이의 불확실성을 예고했다.

▲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 [사진=크래프톤 제공]


한편, 크래프톤 최대주주인 장병규 의장은 주식평가액이 3조 원을 넘기며 ‘벼락 재벌’이 됐다. 장 의장은 크래프톤 지분 14.37%를 보유하고 있어 이날 종가 기준 주식평가액이 3조 1906억 원에 달한다.

구주 매출로 지분 전량을 팔아치운 3대주주 벨리즈원유한회사에 장 의장도 일부 출자한 것으로 알려져 이번 상장을 통해 현금화 가능한 자금 규모도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텐센트도 대박을 터트렸다. 텐센트의 자회사인 이미지프레임인베스트먼트는 크래프톤 지분 13.58%를 보유한 2대주주다. 김창한 대표, 김강석 전 대표 등 크래프톤 전·현직 경영진들도 주머니가 두둑해질 전망이다.

반면에 이번 공모주 청약에 참여한 투자자들은 당장 손실을 피할 수 없게 됐다. 크래프톤의 공모 규모는 4조 398억 원으로 삼성생명에 이어 역대 2위다.

▲ 크래프톤 제공


하지만 글로벌 게임 시장에서 사상 최고의 흥행을 거둔 배틀그라운드 IP의 독보적인 영향력과 곧 출시될 신작 ‘배틀그라운드 : 뉴 스테이트’의 성공 가능성에 주목해야 한다는 반론도 있다.

각종 이슈와 수급 문제로 당장 주가가 부진할 수 있지만 하이브처럼 고평가 논란을 잠재우고 높은 성장성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면 투자자들의 기대 심리가 살아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최근 게임업계가 인기 IP를 바탕으로 다양한 콘텐츠 사업으로 공격적인 확장에 나서면서 향후 크래프톤의 성장 잠재력이 더 부각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 예선영대표, K-케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협력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컬러플레이스 이세령 대표와 에이드프라미스·국제돌봄연합(ICU) 예선영 대표가 9월 고령 사회에서도 존엄성을 지켜낼 수 있는 새로운 협력을 위해 혁신 모델을 제시했다. 퍼스널컬러 분야에서 15년간 독보적 입지를 다져온 이세령 대표는 단순한 뷰티 서비스를 넘어 데이터 기반 분석과 맞춤형 이미지 컨설팅을 통해 개인의 자신감과 존엄 회복

2

강원랜드,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건설 분야 감사자문단’ 발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강원랜드 감사위원회(상임감사위원 안광복)는 12일에 건설사업의 리스크 예방과 내부통제 강화를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력한‘건설 분야 감사자문단’을 공식 발족한다고 밝혔다.이번 자문단 발족은 지난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와 체결한 감사업무 협약 이후 실질적인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되는 후속조치로 양 기관 상임감사위원과 감사업무

3

SK하이닉스, 2025 미래포럼 개최…"차세대 AI 전략 논의"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하이닉스는 지난 11일 경기 이천캠퍼스에서 ‘AI 시대, First Mover로서의 기술적 도약과 Paradigm 변화’라는 주제로 2025 SK하이닉스 미래포럼(이하 미래포럼)’을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미래포럼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의 트렌드와 변화를 조망하고 SK하이닉스 반도체 기술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