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박투어3' 김준호 "학창시절 매점 누나 보려고 쉬는 시간만 기다려"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4-10-24 09:29:17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즈’가 대만 타이난에서 학창시절 첫사랑을 깜짝 소환한다. 

 

▲'독박투어3' 출연진이 대만 타이난에서 대표 면요리 '담자면'을 맛보며 학창시절 토크로 이야기 꽃을 피운다. [사진='독박투어3' 방송 갈무리]

 

26일(토)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3’(채널S, SK브로드밴드, K·star, AXN 공동 제작) 10회에서는 가오슝에서 타이난으로 이동한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대만의 대표 면 요리인 ‘담자면’을 맛보며 힐링을 만끽하는 한편, 학창시절 첫사랑 토크로 독박 게임을 벌이는 흥미진진한 현장이 펼쳐진다.

 

이날 ‘독박즈’는 숙소에 ‘체크인’한 뒤, 김준호가 예약한 ‘담자면 맛집’으로 향한다. 식당에 도착한 이들은 시그니처 메뉴인 담자면과 함께 다양한 튀김 요리를 주문한 뒤 맛있는 냄새에 기대감을 폭발시킨다. 홍인규는 “작년에 우리 대만 타이베이 여행 왔을 때, 활력에 좋은 것만 먹느라 (이런 맛집은) 몰랐잖아. 그때 왜 그랬지?”라며 후회하고, 김준호는 “우리가 멍청했지~”라며 맞장구쳐 웃음을 안긴다. 

 

이후, ‘담자면’이 나오자 모두가 폭풍 먹방을 선보인다. 장동민은 “이거 거짓말 안 보태고 진짜 다섯 그릇도 먹을 수 있을 것 같다”고 대만족하고, 유세윤은 “교복 입고 먹으니까 더 맛있는 느낌”이라며 공감한다. 교복과 학창시절 이야기가 나오자 김준호 역시, “예전에 우리 학교 매점 누나, 엄청 예뻤다. 수업 종 치자마자 그 누나 보려고 매점에 갔었다”라면서 추억 토크를 가동한다. 이에 ‘독박즈’는 “이걸로 우리 식사비 독박자 정하자. 가장 설레는 에피소드 먼저 독박제서 제외시키자”라고 합의한다.

 

직후, 유세윤은 “고3 때 만난 친구인데, 집까지 데려다 주고 돌아와 (삐삐의) 음성 메시지 함을 열자, 이소라&이문세 노래가 흘러나왔다. 아직도 그 노래를 들으면 그 친구가 생각난다”고 이야기한다. 김대희는 촉촉한 눈빛과 함께, “나도 고3 때 만났다. 그 친구가 비 오는 날 나에게 우산을 쥐어주고는 본인은 비를 맞으면서 집에 갔다”고 털어놓는다. 급기야 그는 “개그맨이 되고 나서 ‘TV는 사랑을 싣고’에 나가서 그 친구를 다시 만나기도 했다”고 덧붙여 모두를 놀라게 한다. 나머지 멤버들도 아련한 첫사랑의 추억을 술술 풀어내는데, 과연 ‘담자면’ 식사비를 건 ‘독박 게임’의 승자와 패자가 누구일지에 궁금증이 치솟는다. 

 

브레이크 없는 ‘독박즈’의 첫사랑 토크 배틀은 26일(토) 저녁 8시 20분 방송하는 ‘니돈내산 독박투어3’ 10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독박투어3’는 채널S, K·star, AXN에서 동시에 방송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