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인보우7+', 쫄깃한 삼각관계! '한국녀'에 돌진한 '외국남' 2인 신경전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01-17 10:25:37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국내 최초 다국적 연애 예능 ‘레인보우7+’에서 한국 솔로녀 유나를 사이에 두고 유럽 출신의 솔로남 니코와 로디온의 쫄깃한 삼각관계가 본격화된다.

 

▲레인보우 아일랜드에 솔로 남녀들이 엇갈린 로맨스로 혼돈의 상황을 겪는다. [사진='레인보우7+' 방송 갈무리]

 

17일(오늘) 오후 공개되는 LG U+모바일tv ‘레인보우7+’ 5회에서는 새로운 데이트를 떠난 ‘2대 킹(King)’과 ‘2대 퀸(Queen)’의 아찔한 데이트 현장과, 레인보우 아일랜드에 남아있는 시티즌(Citizen)들의 ‘극과 극’ 로맨스 상황이 공개된다. 

 

앞서 ‘1대 킹’ 승훈과 ‘1대 퀸’ 유나에게 선택받아 24시간의 첫 데이트를 했던 마오와 니코는 이날 풀 죽은 모습을 보인다. 승훈과 유나에게 두 번째 데이트 선택을 받지 못한 채 숙소에서 그들의 데이트 순간을 사진으로 확인하게 돼 기분이 착 가라앉은 것. 실제로 마오와 니코는 데이트 사진을 본 뒤 제작진과의 속마음 인터뷰에서 “기분이 안 좋았다”, “보고 싶지 않았는데”라고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는다. 또한 “최근에 가장 짜증났던 날은 오늘이다”, “가장 후회되는 선택? 오늘의 투표”라며 속상함을 토로한다. 이후로도 니코와 마오는 카페에서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도 각자 ‘유나’와 ‘승훈’을 떠올리며 심란한 표정을 짓는다. 그러다 예기치 못한 일이 발생하자, 마오는 “뭔가 이해가 안 된다”며 당황스러워 한다. 

 

반면 새롭게 데이트에 나선 유나와 승훈은 같은 한국인으로서 동질감을 느끼는 듯 데이트 초반부터 가까워진 모습을 보인다. 그러면서, 서로에 대해 ‘동지애’ 혹은 ‘전우애’라고 표현하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그러던 중, ‘2대 킹’ 승훈에게 ‘파트너 체인지 결정’ 알림이 울리고, 승훈은 고민 끝에 유나가 아닌, 새로운 상대를 선택한다. 

 

승훈의 ‘데이트 파트너’ 체인지 요청에 따라 유나는 레인보우 아일랜드로 돌아가고, 유나를 오매불망 기다리던 니코와 로디온은 유나의 복귀에 온도 차 반응을 드러낸다. 니코가 유나를 향한 호감이 큰 만큼 서운한 기색을 표출한 반면, 로디온은 유나를 따뜻하게 반기면서 세심하게 챙기는 것. 

 

급기야, 니코는 저녁 식사를 준비하는 내내 유나에게 냉랭한 기색을 보이면서, “나 힘들었어. 너 없을 때”라고 투정한다. 이 같은 분위기에 로디온은 회심의 미소를 지으면서 제작진과의 인터뷰에서 “저한테 아직 기회가 있는 것 같다”고 한 뒤, 유나에게 적극 다가가려 한다. 

 

24시간 데이트를 하고 난 후 오히려 관계가 어색해진 유나와 니코, 아직 데이트를 하지 않았어도 서로에게 호감을 키워가고 있는 유나와 로디온 중, 누가 진짜 사랑에 빠지게 될지에 초미의 관심이 쏠린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AI 고평가' 우려에 나스닥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엔비디아 시총 510조원 증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의 고평가 논란이 확산되면서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나스닥 지수는 주간 기준 3% 하락했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해방의 날’ 상호관세

2

울산화력 붕괴 참사, 40대 매몰자 끝내 숨져...3명 사망·4명 여전히 매몰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구조를 기다리던 40대 근로자의 시신이 사고 발생 사흘 만에 수습됐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9일 오전 11시5분께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 김모(44)씨의 시신이 발견돼 수습됐다. 김씨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 보일러 타워가 붕괴될 당시 현장에 있다가 매몰됐으며, 약 1시간20분 후 구조대에 의

3

청약통장 가입자 3년 새 224만명 감소…‘무용론’ 다시 고개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청약통장 가입자가 꾸준히 감소하며 ‘청약통장 무용론’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고분양가와 대출 규제 강화, 낮은 당첨 확률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청약시장 진입을 주저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9월 기준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청약저축·청약부금·청약예금 포함) 가입자는 2634만993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