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한국 편의점 매장 수, 일본·대만 제치고 최고"

문혜원 / 기사승인 : 2024-07-21 08:54:04
  • -
  • +
  • 인쇄
한국 편의점 차별화 '원스톱 가게'소개
택배부터 카드충전·점심해결까지 장점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CNN이 현지시간으로 지난 18일 한국 편의점 매장은 전 세계 맥도날드 매장 수보다 많다며 한국의 편의점 산업을 집중 조명했다.

 

▲한국 편의점이 생활편의점에서 가장 편리하다는 CNN 보도로 인해 관심이 집중된다. [사진=나무위기]

한국편의점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전국의 편의점 수는 5만5200개를 넘어섰다. 이는 인구 950명당 1개꼴로 편의점 매장이 있는 셈이다. 한국 편의점 수는 일본과 대만을 제치고 1인당 매장 수에서도 최고를 차지했다.

 

협회는 한국 편의점 이용 관련 장점에 대해 택배를 찾고, 지하철 카드를 충전하고, 점심을 먹고, 현금을 간편하게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매력으로 꼽았다. 

 

대부분의 다른 나라에서는 우체국과 지하철역, 식당 등을 각각 방문해야 하지만 한국에서는 이 모든 것을 가까운 편의점에서 해결할 수 있다고 짚었다.

 

CNN은 또한 미국에서는 편의점이 주로 주유소 옆이나 번화가에 있고 거주지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지만, 한국은 다르다고 설명했다.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는 편의점이 구석구석 자리하고 있으며 여러 편의점이 같은 거리에 몰려있기도 하다.

 

아울러 CNN은 한국 편의점의 차별화 요소로 한 번의 방문으로 여러 가지 일을 해결할 수 있는 '원스톱 가게'라는 점도 꼽았다. 고객들은 편의점에서 휴대전화를 충전하고 공과금을 내며 현금을 인출할 수 있다.

 

또 온라인 주문과 배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매장에서는 전기 스쿠터를 충전하거나 환전하고 국제우편도 보낼 수 있다.

 

음식 판매대에는 즉석 된장국부터 컵라면, 김밥, 밀키트 등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팔고 있으며 매장 내에 마련된 좌석에서 간단하게 먹을 수도 있다.

 

CNN은 한국에서 편의점이 이처럼 성장한 이유로 1인 가구 증가와 인구의 도시 밀집 현상 등을 꼽았다. 분만 아니라 대가족과 달리 1인 가구는 편의점이나 온라인을 통한 간편한 주문을 선호한다점도 장점으로 꼽았다.

 

CNN은 편의점이 실생활뿐만 아니라 소셜미디어에서 인기를 끌며 한류 현상도 반영하고 있다고 했다. 유튜브나 틱톡, 인스타그램 등에서는 인플루언서들이 편의점 음식을 리뷰한 영상 등을 손쉽게 찾아볼 수 있다.

 

CNN은 한국 편의점이 해외로 진출할 정도로 큰 성공을 했다고도 언급했다. CU와 GS25, 이마트24 등 한국의 3대 편의점 브랜드는 현재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