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대부분이 나트륨·포화지방·지방 함량 1일 권장량 절반 넘어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CU·GS25·세븐일레븐 등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햄버거의 영양 불균형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가 국내 3대 편의점의 햄버거 30종을 무작위로 선정해 조사한 결과 나트륨, 포화지방 및 지방 함량이 소비자의 건강을 위협할 정도였다.
최근 고물가 여파로 편의점에서 끼니를 해결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 그중 햄버거는 값싼 가격으로 한 끼를 해결할 수 있어 소비자들이 찾는 단골 메뉴 중 하나다. 하지만 CU, GS25, 세븐일레븐 등 국내 3대 편의점의 햄버거 대부분이 나트륨은 1일 권장량의 최대 80%, 포화지방은 107%, 지방은 91%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햄버거 제조사·제품별 <나트륨> 함량 순위[사진=소비자주권시민회의] |
나트륨은 CU에서 판매하는 ‘트리플 불고기 치즈버거’(삼립)가 1,590m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1일 권장량의 80% 수준이다. 다음으로 CU ‘콰트로타워버거’(삼립)가 1,490mg(75%), 세븐일레븐 ‘빅슈프림 데리비프버거’(삼립) 1,480mg (74%)가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조사제품 절반 이상이 1일 권장량의 50%를 초과할 정도로 함량 실태가 심각했다.
지방 함량은 CU에서 판매하는 ‘디럭스 스크램블 치즈버거’(삼립)가 49g(91%)으로 가장 높았다. CU ‘트리플 불고기 치즈버거’(삼립) 48g(89%), 세븐일레븐 ‘더 커진 더블 빅불고기버거’ 41g(76%) 순이다.
나트륨, 포화지방, 지방은 꼭 필요한 영양성분이지만,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나트륨은 과다섭취 시 위암이 생기기 좋은 환경을 만들고 혈압상승으로 뇌졸중, 심장발작, 심근경색 등의 발병률을 높인다. 포화지방은 혈액 순환에 악영향을 미쳐 뇌졸중, 심근경색, 심장병 등을 초래하고, 비만, 당뇨병 등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지방 역시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 비만을 초래하고, 심장병 위험을 높일 수 있으며, 심혈관질환인 심장 마비와 뇌졸중 등의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제조사들은 다양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소비자들의 건강은 관심 밖”이라며 “제조사들은 신제품 출시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소비자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성분은 줄여나가야 한다. 정부 역시 전수조사 후 일정수치 이상 제품 판매금지, 성분표시확대 등 엄격한 규제 마련을 통해 소비자들의 건강한 식문화에 앞장서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