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두번째 '빅스텝' 단행···10년만에 기준금리 3%시대 개막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10-12 09:55:43
  • -
  • +
  • 인쇄
석달만에 두번째 0.5%p 올려...사상 첫 연속 5회 조정
고물가, 美 공격적 금리인상 움직임에 선제대응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5%p(포인트) 올려 기준금리가 3.0%로 높아졌다. 지난 4월 0.25%p(포인트) 인상 이후 사상 첫 연속 5회 기준금리 인상이다. 높은 물가상승율과 환율 고공행진, 미국의 공격적 금리인상 움직임 등이 사유로 꼽힌다. 이날 인상으로 미국과의 기준금리 금리격차가 0.00~0.25%포인트로 좁혀졌다.

 

금통위의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은 예견된 것이다.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는데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1% 가까이 벌어져 빅스텝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기 때문이다.

 

 

▲ 한국은행은 12일 기준금리를 0.5%p 올렸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5%p 올리기로 결정했다. 작년 8월, 11월, 그리고 올해 1월, 4월, 5월 각각 0.25%p, 7월 0.5%p, 8월 0.25%p씩 인상했고 이번에 금리인상을 단행하면서 기준금리는 3.0%로 올라섰다. 3%대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10년만에 처음이다.


지난 7월 한은은 사상 처음으로 통상적 인상 폭의 두 배인 '빅스텝'을 결정했다. 물가 상승과 금융 불균형 심화, 미국의 '빅스텝'결정과 조기 긴축정책 움직임이 금리인상의 이유다. 이번에도 '빅스텝' 결정에 나선 것은 무엇보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고 미국과의 금리격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우려했기 때문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 9월 5.6% 올랐다. 지난 6월 6.0%, 7월도 6.3%로 상승세가 꺾이긴 했지만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기대보다 적게 하락한 수치다.

또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크게 벌어지고 있는 것도 인상 전망의 중요한 근거로 꼽힌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3.00∼3.25%)가 연준의 공격적 금리인상으로 내달 4%대로 올라서게 되면 원화약세는 더욱 심화되어 원달러환율이 1500원선을 넘어설 수 있게 된다. 환율이 계속 뛰면 어렵게 정점을 통과중인 인플레이션도 다시 악화될 수 있다. 

한은으로서는 기준금리 인상으로 격차를 좁혀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원화 약세, 수입 물가 상승 등의 위험을 최대한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엑소코바이오, 글로벌 엑소좀 서밋 'RAES 2025'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엑소좀 기반 의약품 개발 기업 엑소코바이오는 제4회 ‘재생 에스테틱 엑소좀 서밋 2025(RAES 2025)’에서 스킨케어 브랜드 ‘ASCE plus’의 신제품을 선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다음달 3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리는 ‘RAES 2025’는 엑소코바이오가 2022년부터 주최한 세계 최대 규모의 엑소좀 전문

2

크린랩, 물성 소재 활용 친환경 생수 ‘릴리프(Re:leaf)’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크린랩은 100% 식물성 생분해 소재 PLA(폴리락틱애시드)로 만든 친환경 생수 ‘릴리프(Re:leaf)’를 30일 출시하며 생수 신사업 진출을 알렸다. 크린랩은 이번 신사업을 통해 환경과 건강을 중시하는 가치소비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군을 확대하고, 친환경 생수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릴리프’는 ‘다시 자연으로 돌아간다’

3

BBQ, APEC 현장서 K-푸드를 알리기 나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제너시스BBQ 그룹이 오는 31일부터 진행되는 ‘2025 APEC KOREA’를 앞두고 해외 정상들을 맞이할 준비를 완료했다고 30일 밝혔다. APEC(Asia-Pacific Economic Cooperation,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은 21개국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 경제 협력체로 자유무역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한 정상회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