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연준, 4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 단행 ··· 파월, 속도조절 시사

황동현 / 기사승인 : 2022-11-03 08:45:38
  • -
  • +
  • 인쇄
기준금리 3.75~4.00%로 높아져
우리나라와의 금리격차 최대 1%p 확대
파월, 이르면 12월 금리인상 속도조절 언급

고공행진하고 있는 물가에 맞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4회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단행했다. 파월 의장은 이르면 12월 금리인상 속도조절 가능성을 시사했다. 우리나라 금리와의 격차는 다시 벌어져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압박도 커졌다. 

연준은 2일(현지시간)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성명을 내고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를 0.75%p(포인트) 인상한다고 밝혔다.
 

▲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 [사진=연합뉴스 제공]


이에 따라 연방기금 기준금의 목표범위는 3.75%~4.00%로 높아졌다. 2008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지난 6월 연준은 1994년 이후 28년 만에 처음으로 0.75%p 금리인상이라는 '자이언트 스텝'을 밟은 이후 4회 연속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하고 있다.

연준은 성명을 내고 "인플레이션을 목표범위인 2%로 유지하기 위해 추가 금리인상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준은 경제상황에 대해 소비와 생산의 완만한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며 일자리는 최근 몇달 동안 견조한 모습이고 실업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나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 5월 전년동기대비 8.6% 상승에 이어 9월에도 8.2%를 기록하며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공급망 불안과 높은 식량 및 에너지 가격,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더해 1981년 12월 이후 40여 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 이어지고 있다. 

 

아울러 연준은 오는 12월 FOMC회의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가능성도 내비췄다


연준은 "향후, 금리인상 속도를 결정할 때 통화정책의 긴축 누적, 경제 활동과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지연, 그리고 경제와 금융발전 측면을 고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제롬 파월 의장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어느 시점엔 금리인상 속도를 늦추는게 적절할 것이다"라면서도, "인상을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에 대해 생각하는 건 시기상조다"라고 말했다.

이와 같은 움직임에 연준의 속도조절론에 힘이 실렸다. 일각에서는 연준이 12월 기준금리를 4.5%로 현재보다 0.5%p 추가 인상하고, 최종적으로 내년 상반기 5%수준으로 인상한 이후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한편 미국의 기준금리가 3.75~4.0%로 오르면서 한국의 금리(3.0%)보다 최대 1% 높아져  자본 유출 등에 따른 피해가 우려된다. 지난 10월 한국은행은 0.5%포인트 인상했지만, 올해 한차례 남은 11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또 다시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날 미국 증시는 연준의 금리인상 발표 직후 상승세를 보였으나 파월 의장의 발언이 나온 이후 급락했다.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505.44포인트(1.55%) 내린 3만2147.76,  S&P500지수는 96.41포인트(2.50%) 하락한 3759.69, 나스닥지수도 366.05포인트(3.36%) 내린 1만524.80으로 장을 마쳤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오뚜기함태호재단, 제32회 오뚜기 함태호 학술상 시상식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재단법인 오뚜기함태호재단은 지난 29일 부산 벡스코에서 제32회 오뚜기 함태호 학술상 시상식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오뚜기함태호학술상 식품산업 진흥과 학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전남대학교 전우진 교수가 수상의 영광을 안았다. 식품 내 파이토케미컬의 생체 효능 검정과 작용기전 규명 연구로 SCI급 국제논문 150여

2

아워홈, F&B 고객사 초청해 동반 성장 포럼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아워홈은 지난 29일 더 플라자 서울에서 호텔·리조트·프랜차이즈 등 주요 F&B 고객사 20여 곳을 초청해 동반 성장 포럼 'F&B Alliance Program'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포럼은 F&B 업계 전문가와 리더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F&B 트렌드와 비즈니스 전략을 공유

3

코스맥스, 맞춤형 기능성 뷰티 시대 연다…비건·생합성 등 PDRN 생산 경로 다각화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코스맥스가 최근 화장품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원료인 PDRN 합성 경로 다각화에 성공했다. 코스맥스는 서울시립대학교 최용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차세대 합성 플랫폼 CFSS(Cell Free Synthetic System)를 활용한 비건 PDRN 개발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신규 개발한 비건 PDRN은 연어 PDRN과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