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수주 실적 양극화…수주액 1조 클럽 7곳, 2곳은 '제로'

윤중현 기자 / 기사승인 : 2025-06-02 15:23:35
  • -
  • +
  • 인쇄
현대엔지니어링·SK에코플랜트는 아직 수주 못해
아파트 브랜드 선호도와 선별 수주 경향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건설 경기 악화 속에 건설사들의 수주 실적도 양극화하고 있다.

 

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시공능력평가 상위 10위 건설사 중 현대엔지니어링과 SK에코플랜트는 아직 아파트 재개발·재건축 수주 실적이 없다.

 

▲서울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연합뉴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2월 10명의 사상자를 낸 서울세종고속도로 사고 여파로 신규 수주를 중단한 상황이어서 상반기를 신규 수주 없이 넘길 가능성이 커졌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달 중순 예정된 서울 면목 7구역 재개발 시공사 선정 결과에 따라 상반기 첫 수주를 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 가운데 ‘1조원 클럽’을 달성한 곳은 현재까지 7곳으로 집계됐다. 삼성물산 건설부문(5조213억원), 포스코이앤씨(3조4328억원), 현대건설(2조9420억원), DL이앤씨(2조6830억원), 롯데건설(2조5354억원), GS건설(2조1949억원), HDC현대산업개발(1조3018억원) 등이다.

 

이 중 DL이앤씨는 지난달 31일 1조 7584억원 규모의 한남5구역 수주에 성공해 1조 클럽에 가입했다. HDC현대산업개발도 앞선 26일 부산 연산 10구역 재개발 정비사업(4453억원)을 따내며 1조원 클럽에 들었다.

 

수주 실적이 있는 곳 중 아직 1조원이 안 되는 곳은 대우건설이다. 시공 능력 평가 3위인 대우건설은 지난달에야 군포1구역(2981억원)으로 마수걸이했다.

 

공사비 급등과 부동산 시장 침체로 재개발, 재건축이라고 무조건 수익을 내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건설사들도 사업성과 경쟁력 등을 따져 '될 만한 곳'을 골라 노리는 선별 수주에 나선 결과로 풀이된다. 여기에 ‘똘똘한 한 채’로 수요가 집중되며 정비사업 조합원들의 아파트 브랜드 편식이 심해지면서 강남권과 같은 인기 지역은 ‘톱3’ 건설사가 아니면 수주하기 쉽지 않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재건축·재개발 이슈는 인기 지역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며 “공사비와 각종 환경 리스크, 수익성을 따져 입찰하려는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추석 과일 가격 걱정인데...사과·배 도매 가격 '하락' 전망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으로 예측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어 출하량이 늘었다고 분석

2

신세계그룹, 12년째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이어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신세계그룹이 ‘청년을 위한 인문학 사회공헌 프로젝트, 지식향연’을 12년째 이어가고 있다. 전 국민이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비전 아래 2014년 출범한 지식향연은 일회성 강연에 그치지 않고 인문학 청년인재 양성, 인문학 지식나눔, 인문학 콘텐츠 발굴을 목표로 매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신세계그룹은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통해 인문학

3

롯데마트, 민들레학교에 친환경 업사이클링 시설물 기부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롯데마트는 지난 5일 경기도 구리시에 위치한 구리광장에서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 시설물 전달식’을 진행했다고 7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진주태 롯데마트·슈퍼 준법지원부문장, 김준현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 본부장, 이양현 구리남양주민들레학교장을 비롯해 구리시민 5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전달식은 지난 9월 6일 자원순환의 날을 맞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