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블리, ‘AI 추천 기술’로 패션 앱 사용자 수 1위

심영범 기자 / 기사승인 : 2025-09-24 13:50:42
  • -
  • +
  • 인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에이블리코퍼레이션이 운영하는 스타일커머스 플랫폼 에이블리가 8월 ‘와이즈앱’과 ‘모바일인덱스’ 양대 표본 조사에서 패션 앱(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수(MAU) 1위를 기록했다고 24일 밝혔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하 ‘와이즈앱’)에 따르면 지난달 에이블리 사용자 수는 917만 명으로 패션 플랫폼 업계 1위를 차지했다. 이는 2023년 동기 대비 약 35%,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10%가량 증가한 수치다. 

 

▲ [사진=에이블리]

 

전 연령 고른 사용자 비중을 기록한 가운데, 잘파세대의 핵심 축이자 미래 소비 주역으로 꼽히는 10대 규모가 특히 돋보였다. 8월 와이즈앱 분석 결과 10대 사용자가 20%, 20대가 31%, 30대와 40대가 각각 21%, 19%로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그중 10대(만 14세 이상 19세 미만) 사용자가 약 180만 명으로, 이는 MAU 상위 11개 버티컬 커머스 플랫폼 평균의 5배에 달한다.

 

10대의 활발한 앱 사용이 실제 구매로 이어지며, 레몬트리에서 운영하는 '퍼핀'이 발표한 ‘2025년 상반기 알파세대 소비 행태 분석’ 조사 결과, 10대 온라인 결제 건수에서 에이블리 비중은 43.4%로 1위를 차지했다. 

 

에이블리는 업계 최초 자체 개발한 ‘AI 개인화 추천 기술’을 주요 성과 원인으로 분석했다.

 

비슷한 스타일을 추구하는 유저 빅데이터를 AI에 학습시켜 고객이 원했던 상품을 정확히 찾아주고, 몰랐던 취향까지 발견할 수 있도록 돕는 추천 알고리즘이 사용자 유입을 이끌었다. 쇼핑도 ‘시성비(시간+가성비)’를 중시하며, 새로운 취향 탐색에 거리낌 없는 잘파세대 특성과 맞물려 AI 추천 기술 효과가 보다 극대화된 것으로 보인다.

 

유저가 보고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강화해 앱 이용 만족도를 높인 점도 주효했다. 에이블리는 가상 시착 서비스 ‘AI 옷 입기’, 프로필 사진 생성 서비스 ‘AI 프로필’을 비롯해 ‘웹툰·웹소설’, ‘AI 채팅’, ‘커뮤니티’ 등 쇼핑 외 다양한 볼거리를 선보이고 있다. 단순 구매 과정을 넘어 앱을 이용하는 전 과정에 걸쳐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한 점이 유저 확대로 이어진 것이다.

 

에이블리 강석훈 대표는 “본래 강점인 기술력을 통해 커머스 본질을 강화하는 동시에 고객이 머무르며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지속 확대한 점이 치열한 시장 경쟁 속에서도 긍정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던 토대가 됐다”라며 “이번 성과는 향후 핵심 소비층인 잘파세대 선점에 성공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크며, 앞으로도 고객 접점을 꾸준히 늘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GM 노조, 내년 2월 직영 서비스센터 종료에 반발...퇴사 종용 논란
[메가경제=정호 기자] 한국GM지부가 사측의 직영 서비스센터 매각 방침에 강하게 반발했다. 10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GM지부는 보도자료를 내고 "직영 서비스센터 매각은 단순한 사업 구조 개편이 아니라 사실상 구조조정 모델"라며 강력한 저지 의사를 밝혔다. 기존 서비스센터에서 근무하던 직원들은 다른 직무로 재배치

2

네이버지도, 예약 탭 도입…"식당부터 레저, 여행까지 예약 지원"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네이버는 네이버지도 앱에서 네이버 예약이 가능한 장소와 액티비티, 이동수단을 한눈에 모아보고, 편리하게 예약할 수 있는 ‘예약’ 탭을 도입한다고 10일 밝혔다. 네이버지도는 이용자의 여정 전반의 편의성을 강화하고, AI, 공간지능 등 기술력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공간 경험을 제공하며 서비스를 고도화해왔다. 전국 핫플레이스, 개인화 추

3

삼성증권, 연금저축 이벤트 진행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삼성증권이 '세액공제 Up 혜택도 Up Hurry Up! 연금저축 이벤트'를 이달 30일까지 진행한다고 10일 밝혔다. 연금저축 계좌는 개인형 연금 계좌다. 연간 세액공제 대상 납입한도는 600만원이다. 또한 개인형퇴직연금(IRP) 납입분을 합산하여 최대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받을 수 있어 연말마다 필수 세테크 수단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