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은진 노무사의 산재 톺아보기]①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보험급여의 소멸시효

현은진 / 기사승인 : 2022-05-11 15:07:45
  • -
  • +
  • 인쇄

“용접공으로 15년 간 일하다가 4년 전에 무릎 수술을 했는데... 3년이 지나면 산재신청을 못하는 것 아닌가요?”

상담을 하다 보면 많은 사람들에게 이런 질문을 받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가능한 경우도 있다.
 

▲ [사진=픽사베이 제공]

소멸시효란 권리자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기간 동안 권리를 행사하지 않는 경우, 그 권리를 소멸시키는 제도이다.

일반적으로 업무상 재해를 입은 근로자는 요양기간 동안 요양급여와 휴업급여를 지급받게 되고, 치유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능력이 상실된 경우에는 장해급여를 지급받게 된다.

요양급여의 소멸시효는 3년이며 그 기산점은 요양에 필요한 비용이 구체적으로 확정된 날의 다음날이다. 휴업급여의 소멸시효 또한 3년으로 요양으로 인해 휴업한 다음날부터 기산된다. 장해급여의 경우 치유된 날의 다음날부터 소멸시효가 기산되며 그 기간은 5년이다.
 

예를 들어, 2021년 1월 1일에 진단을 받고 2021년 7월 1일까지 치료를 받은 후 2024년 4월 1일에 산재 신청을 한 경우를 살펴보자.


2021년 1월 1일의 보험급여 청구권, 2021년 1월 2일의 보헙급여 청구권, ……중략…… , 2021년 7월 1일의 보험급여 청구권은 각각 개별적으로 시효가 진행된다.

따라서 ①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3월 31일까지의 요양급여와 휴업급여는 청구 시점에 3년이 도과되었기에 청구할 수 없지만, ② 2021년 4월 1일 이후부터 발생한 요양급여와 휴업급여는 청구할 수 있는 것이다. ③ 2021년 7월 1일이 치유일이라고 한다면, 그 소멸시효는 2021년 7월 2일부터 기산되는 것이므로 장해급여 또한 청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자.

2015년 3월 3일에 진단을 받고 2016년 1월 1일까지 치료를 받은 후 2020년 5월 1일에 산재를 신청하는 경우, ① 요양급여와 휴업급여는 청구시점에 3년의 소멸시효가 도과되었으므로 청구할 수 없지만, ② 장해급여의 경우 아직 소멸시효 내에 있으므로 청구할 수 있다.

이렇듯 산재법상 보험급여의 소멸시효 및 그 기산점은 보험급여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므로 업무상 재해가 발생하고 어느 정도 기간이 경과한 후 산재법상 보험급여를 청구하려고 하는 경우, 소멸시효에 대한 오해로 인해 권리를 행사하지 못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다.

[노무법인 소망 공인노무사 현은진]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현은진
현은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돌싱글즈7' 동건 "단추 다시 꿰매 보려" 최종 선택 12시간 전 명은에 직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단추를 다시 꿰매볼까 해서…” MBN ‘돌싱글즈7’의 동건이 ‘돌싱하우스’의 최종 선택을 12시간여 앞두고 명은에게 ‘불도저’급으로 직진해 ‘심장 쫄깃’한 상황을 만든다. 14일(일) 밤 10시 방송하는 MBN ‘돌싱글즈7’ 9회에서는 동건이 ‘1:1 데이트’를 마치고 돌아온 명은에게 불꽃 대시해 ‘돌싱하우스’를 대혼돈에 빠뜨

2

아웃도어 본질에 스타일을 더하다…네파 2025 F/W 시즌 룩북 공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네파가 12일 모델 이준호·안유진과 함께한 2025년 가을·겨울(F/W) 룩북을 공개했다. 네파는 ‘樂 on the Hills’를 테마로 거칠고 광활한 자연에서 본격적인 아웃도어 활동은 물론 도심 속 자연과 근교의 가벼운 트레킹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 이번 시즌에는 기존 아웃도

3

참좋은여행,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참좋은여행은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은 고용노동부가 2018년부터 매년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개선을 선도적으로 실천한 100개 기업을 선정해 격려하는 제도다. 참좋은여행은 이번 평가에서 고용 확대 노력 청년·여성 친화적 고용 환경 안정적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