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템임플란트, 中 리콜 보도에 주가 '출렁'...집단소송까지 악재에 '몸살'

이석호 / 기사승인 : 2023-01-06 15:31:01
  • -
  • +
  • 인쇄
"자사 임플란트 아니라 독일 수입산인 임플란트 엔진 문제"
작년 주가하락 관련 손해배상금 1억 규모 집단소송도 제기

'강성부 펀드'의 지분 매입으로 주가 상승에 시동을 걸던 오스템임플란트가 리콜 보도, 집단소송 등 연이은 악재로 몸살을 앓았다.
 

▲ 오스템임플란트 본사 [사진=연합뉴스]



오스템임플란트는 6일 오후 코스닥 시장에서 갑작스레 주가가 장중 18.44%까지 급락했다가 다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번 주가 급락은 이날 오후 국내 한 매체에서 중국 당국이 오스템임플란트의 제품에 대해 표준 규격 미달로 리콜 조치에 착수했다는 보도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오스템임플란트 관계자는 해당 보도에 대해 "자사 임플란트 문제가 아니라 독일 수입산인 임플란트 엔진 문제"라며 "구형에서 신형 제품으로 바꿔 판매하는 과정에서 엔진의 사양(회전수)을 단순 실수로 잘못 기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제품의 하자가 아니라 단순한 기재 실수"라며 "임플란트와는 전혀 무관하다"고 전했다.

또 "만약에 문제가 생겨서 일시적으로 엔진 제품에 대한 판매 정지가 되더라도 매출 비중은 크지 않다"면서 "주력 사업인 임플란트라면 일시적인 판매 매출 타격도 있고 신뢰에도 문제가 생기겠지만 전혀 상관없는 문제"라고 덧붙였다. 

 

▲ 오스템임플란트 CI


게다가 이날 오전에는 오스템임플란트 주주 김 모씨가 지난달 30일 서울남부지법에 오스템임플란트를 상대로 증권 관련 집단소송을 제기했다는 공시가 나왔다.

공시에 따르면, 김 씨는 "오스템임플란트의 2020년 사업보고서 및 이에 첨부된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서류에 투자자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중요한 사항에 관해 허위의 기재·표시가 있었다"며 이에 따른 주가 하락으로 입은 손해배상금 1억 원을 청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원의 범위는 2021년 3월 18일 ~ 2022년 1월 3일에 오스템임플란트 주식을 매수했다가 2022년 1월 3일 ~ 9월 5일 사이에 매수가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매도한 사람들이다.

한국거래소는 이날 오전 10시 33분부터 30분간 오스템임플란트 주식 거래도 일시 정지시켰다.

이날 오스템임플란트 종가는 전날보다 4% 하락한 12만 6500원을 기록했다. 오후 4시 20분 기준 시간외거래에서는 종가보다 3500원 오른 13만 원에 거래됐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1.0% 전망…0.3%p 올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현대경제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0%로 상향 조정하고, 내년 성장률을 1.9%로 제시했다. 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6년 한국 경제, 어둡고 긴 터널 그 끝이 보이는가?’ 보고서에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4월의 0.7%에서 1.0%로 0.3%포인트 높였다. 이는 하반기 들어 정부의

2

한국 1인당 GDP, 22년 만에 대만에 추월당한다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상반기까지만 해도 대만이 내년부터 한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대만의 빠른 성장과 한국의 부진이 겹치면서 그 시점이 앞당겨진 것이다. 14일 정부와 대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1인당 GDP는 3만7430달러로, 대만

3

생애 최초 주택 매수 비중, 사상 최대 기록…1∼8월 전체 거래 43.2%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올해 들어 전국에서 매매된 아파트 등 집합건물 가운데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탄핵 정국, 조기 대선, 대출 규제 강화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정부 정책자금 대출 혜택을 활용할 수 있는 생애 최초 구입자가 매수세를 주도한 결과다. 14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전국 집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