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오르고 대출 죄도...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서울은 '주춤'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9-03 10:18:40
  • -
  • +
  • 인쇄
전세가 상승률, 지난주 0.19%→ 0.20% 소폭 확대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상승률은 소폭 줄어든 반면 경기의 상승폭이 확대돼 수도권은 지난주 수준을 유지했다. 제주는 8개 도 중 가장 많이 올랐다.

지난 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31% 올라 지난주 0.30%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 8월 5째 주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는 0.40% 올라 3주째 역대 최고치 상승세를 유지했다. 전국 전세가 상승률은 0.20%로 지난주 0.19%보다 소폭 올라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지난주에 이어 아파트값 상승률이 제일 높은 지역은 수도권이다.

서울은 지난주 0.22%에 비해 소폭 내려간 0.21%의 상승률을 보였다. 규제 완화의 기대감이 있는 재건축단지 위주로 매매가가 올랐으나 시중은행 대출 중단과 금리 인상 등에 영향받아 상승률이 한풀 꺾였다.

경기도는 0.51%로 지난주 0.50%보다 확대됐고, 인천도 0.43%로 지난주 0.41%에 비해 상승폭이 넓어졌다.

경기도 오산시는 누읍동과 갈곶동 중저가 단지 위주로 0.80% 상승했다. 시흥시는 교통 호재 기대감이 이어지며 저가 매물 인식이 있는 하상동‧매화동 위주로 0.72% 올랐다.

인천 연수구는 교통 호재가 있는 연수동‧청학동의 중저가 단지 위주로 0.59% 올랐으며, 개발 소식이 있는 청라국제신도시 중심으로 서구가 0.49% 상승했다.
 

▲ 8월 5째 주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5대 광역시와 8개도는 각각 0.22%, 0.23% 올라 모두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넓어졌다. 제주도가 지난주 0.42%에서 이번 주 0.51%로 대폭 올라 8개도 중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세종시는 지난주에 이어 대부분 지역에서 내림세가 지속됐으나 하락률은 0.01%로 지난주 0.02%보다 소폭 줄었다.

전국 아파트 주간 전세가 상승률은 지난주 0.19%보다 오른 0.20%을 나타냈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은 0.25%로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으나 지방은 0.15% 오르며 지난주 0.13%보다 커진 상승률을 보였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성수1지구 조합 “재입찰 한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하반기 서울 강북권 최대 재개발 사업인 성수전략정비구역1지구(이하 ‘성수1지구’) 조합이 재입찰을 실시한다고 이달 6일 밝혔다. 성수1지구 조합은 이달 4일 대의원 회의에서 ‘기존 입찰지침 유지’ 결정에도 불구하고 조합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승적으로 입찰지침을 변경, 다수의 건설사들이 입찰에 참여토록 할 방침이다. 조합의 재입찰

2

KT&G 상상마당, 전자음악 주제 전시 ‘전율’ 개최
[메가경제=심영범 기자]KT&G는 상상마당 춘천 아트센터에서 오는 10월 19일까지 전자음악 장르의 전시회 ‘전율’을 진행한다고 5일 밝혔다. KT&G 상상마당 춘천은 관객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음악을 주제로 한 전시회를 추진하고 있다. 올해에는 사운드 아티스트 4인의 작품이 공개됐으며, 전자음악 특유의

3

CJ CGV, 대학생 대외활동 ‘Campus Crew' 3기 성료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 CGV는 대학생 대상 대외활동 프로그램인 ‘CGV Campus Crew(이하 ‘캠크루’)’ 3기 활동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고 5일 밝혔다. 캠크루는 CGV에 관심 있는 대학생을 선발해 운영하는 프로그램으로, 지난 2023년 1기를 시작으로 올해로 3기째 이어지고 있다. 올해는 총 19명이 선발돼 한 달간 활동에 나섰다. 특히 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