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 기업 10.2% 뛰어, 서민경제 부담 고려
[메가경제=이준 기자] 한국전력의 심각한 재무상태를 감안해 산업용 전기요금이 24일부터 평균 9.7% 오른다. 다만 생활 물가 안정 등 요인을 고려해 주택용과 음식점 등 상업 시설에서 쓰는 일반용 전기요금은 동결한다.
![]() |
▲ 최남호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오른쪽)과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정부세종청사에서 전기요금 인상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
산업용 전기요금은 평균 9.7% 인상되는 가운데 대용량 고객 대상인 산업용(을) 전기요금은 1kWh(킬로와트시)당 165.8원에서 182.7원으로 10.2%, 중소기업이 주로 쓰는 산업용(갑) 전기요금은 164.8원에서 173.3원으로 5.2% 인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은 2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최남호 산업부 2차관과 김동철 한전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브리핑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기요금 인상 방안을 밝혔다.
산업용 고객은 약 44만호로, 전체 한전 고객(약 2500만여호)의 1.7% 수준이지만 전력 사용량은 53.2%에 달한다. 한전은 산업용에 국한된 이번 전기요금 인상만으로도 대략 전체 요금을 5%가량 올리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번 산업용 전기 요금 인상은 한전의 원가 이하의 전기 판매로 인한 심각한 재무 상태를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지난 6월 말 기준 한전의 연결 총부채는 202조9900억원이다. 이로 인해 한전은 작년 한 해만 4조4500억원을 이자로 지급했다. 하루 122억원 수준이다.
2022년 이후 이번을 포함해 전기요금이 총 7번에 걸쳐 평균 50% 가까이 인상됐지만 한전의 40조원대에 달하는 누적적자 해소는 해결하기 힘든 과제로 남아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