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상장 첫날 시총 32조···금융 대장주 등극

황동현 / 기사승인 : 2021-08-06 13:35:40
  • -
  • +
  • 인쇄
공모가(3만9000원)보다 37.7% 높은 5만3700원에 시초가
초반 불안 딛고 상한가 근접 거래
청약 첫날 '매도의견'등 우여곡절 딛고 성공적인 데뷔
▲ 카카오뱅크가 코스피 상장 첫날 시총 30조를 넘게 기록하며 금융 대장주에 등극했다 [사진=연합뉴스]

 

카카오뱅크가 코스피 상장 첫날 시총 32조를 기록하며 금융 대장주에 등극했다. 기대했던 '따상'(시초가가 공모가 두 배로 결정된 후 상장 첫날 상한가) 은 발생하지 않았지만 흥행 실패 우려를 불식시키며 시초가 대비 20%넘게 상승하는 저력을 과시하고 있다.

 

6일 오후 1시 16분 현재 카카오뱅크는 시초가 대비 24.95%오른 6만 71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거래량은 4520만주에 달하고 코스피 시총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카카오뱅크는 공모가(3만9000원)보다 37.7% 높은 5만3700원에 시초가를 형성했고.이내 하락하며 불안한 출발을 보였지만 다시 반등하며 상승 폭을 키웠다.


현재 카카오뱅크의 시총은 32조1168억원으로, KB금융 (52,100원 상승100원 0.19%)(21조6636억원)을 제치며 금융 대장주에 등극했다. 현재 시가총액 순위는 코스피(우선주 제외) 12위를 기록 중이다. 포스코 (34만1000원, 3000원하락 -0.87%) (29조7307억원) 를 제쳤다.

 

카카오뱅크는 지난달 26~27일 진행된 일반 공모 청약에서는 최종 경쟁률 182.7대 1을 기록했다. 증거금은 약 58조3020억원이 모여 역대 5위 규모였다.

 

카카오뱅크 공모주 청약은 당초 큰 기대를 모았으나 여러 증권사에 청약할 수 있는 중복청약이 적용되지 않은 첫 번째 대어급 기업공개 대상이 되면서 흥행에 불리하게 작용했다. 아울러 일부 증권사가 카카오뱅크 청약 첫날 '매도의견'의 보고서를 낸 것도 영향을 미쳤다. 

 

BNK증권은 "카카오뱅크는 플랫폼을 활용한 비이자이익 확대, 높은 대출성장 지속, 검증된 신용평가시스템을 활용한 리스크 관리 등 보여줘야 하고, 실현하기도 쉽지 않은 과제가 많다"며 목표주가를 공모가 보다 낮은 2만4000원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이날 카카오뱅크는 시초가 대비 급등하는 모습을 연출하면서 성공적인 증시 데뷰 첫날을 맞이했다.

 

[메가경제=황동현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황동현
황동현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서울창업허브 공덕X스케일업센터, 투자 유치 지원 사업 성료
[메가경제=정호 기자] ‘서울창업허브 공덕과 스케일업센터’(이하 서울창업허브)는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는 ‘제3회 스케일업위크’를 11개 참여기업과 함께 성황리에 마무리했다고 23일 밝혔다. 20일 ~ 22일 3일 간 열린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위크’는 보육기업의 투자 유치를 지원하기 위해 서울창업허브 스케일업센터 멤버십(VC, AC, 투자 유관기관

2

이디야커피,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
[메가경제=정호 기자] 이디야커피가 글로벌 관광객의 결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위챗페이(WechatPay), 알리페이플러스(Alipay+), 유니온페이(UnionPay), 라인페이(Line Pay) 4종의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를 전국 가맹점에 도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는 이날 순차 적용되며, 외국인 관광객들은 본인 국가에서 사

3

롯데중앙연구소 주니어보드, 서진학교 나눔마켓 수익금 전액 기부
[메가경제=정호 기자] 롯데중앙연구소는 서울 강서구에 위치한 특수학교인 서울서진학교에 주니어보드가 자발적으로 기획한 나눔마켓의 수익금 전액을 전달하고, 서진학교 재학 아동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냠냠연구소’ 봉사활동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롯데중앙연구소 주니어보드는 MZ세대 직원으로 구성됐으며 사내 기업문화 혁신과제 도출 및 실행과 경영진과 직원 간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