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코인 게이트'에 휩쓸린 게임업계...'로비 의혹설'에 형사 고소까지 '살풍경'

이석호 / 기사승인 : 2023-05-18 17:43:00
  • -
  • +
  • 인쇄
'P2E' 입법 로비 의혹에 학회 VS 업계 '설전'
위메이드, 한국게임학회장 고소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최근 탈당한 김남국 전 더불어민주장 의원의 수십억원 규모 가상자산 투기 논란이 여의도 정치권을 집어삼킨 데 이어 게임업계까지 확산되고 있다. 국내 'P2E(Play to Earn·돈 버는 게임)' 합법화를 두고 학계에서 게임사의 입법 로비 의혹을 제기하자 해당 업체에서 형사 고소로 맞대응하는 등 살풍경이 펼쳐지고 있다.

 

▲ 민주당 김남국 의원 [서울=연합뉴스]



위메이드는 지난 17일 서울경찰청에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을 허위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했다고 밝혔다.

한국게임학회는 지난 10일 김 의원이 위메이드의 가상자산인 '위믹스(WEMIX)'를 대량 보유한 논란과 관련해 성명을 내고 "여야 국회의원과 보좌진의 위믹스 투자 여부를 전수조사해야 한다"며 P2E 게임업계의 국회 로비 의혹을 제기했다.

학회 측은 성명에서 "몇 년 전부터 P2E 업체와 협회, 단체가 국회에 로비하는 것 아닌가 하는 소문이 무성했다"며"위믹스를 둘러싼 이익 공동체가 형성된 결과가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또 "P2E게임은 도박 게임이라고 지탄받는 확률형 아이템과 강력하게 연동돼 있다"면서 "이는 게이머가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게임사가 아이템을 팔아 유저를 착취하는 구조"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학회는 "특히 P2E 게임에 대한 허용 요구가 지난해부터 여야를 막론하고 국회를 중심으로 계속 분출한 것은 위믹스를 둘러싼 이익 공동체가 형성된 결과가 아닌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P2E 게임은 블록체인 기술과 접목해 게임 내 자산을 가상자산이나 NFT로 얻을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해외 일부 국가에서는 P2E 게임이 허용되고 있지만 국내에선 사행성 우려로 도입되지 못한 채 게임업계의 숙원 사업으로 남겨져 있다.

위정현 학회장은 그간 국내 P2E 게임 허용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밝혀왔다.

이에 위메이드는 학회의 성명과 더불어 위 학회장의 언론 기고문과 인터뷰 등에 대해 유감을 나타냈다.

위메이드 측은 입장문을 통해 "그동안 확인되지 않은 의혹과 소문, 추측, 언론 인터뷰 등으로 회사의 정상적인 기업활동을 부도덕한 이미지로 덧씌우는 행위를 지속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특히 "'위믹스 사태', '위믹스 이익공동체' 등의 자극적인 단어를 마치 사실인 것처럼 학회 성명서에 표기했을 뿐만 아니라, 언론 기고문이나 인터뷰 등에서 회사가 국회에 불법적인 로비를 해 온 것처럼 주장함으로써 기업 이미지를 크게 실추시켰다"고 항변했다.

위메이드는 민사소송 제기도 검토 중이다.

 

▲ 위메이드 사옥 [사진=연합뉴스]


게임산업협회도 같은 날 입장문을 내고 위 학회장에 대한 비판에 가세했다.

협회는 "위 교수는 한국게임학회장의 지위를 이용해 '그런 소문을 들었다',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그렇게 느껴왔다'는 말로 연일 실체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게임산업 전반에 대해 모욕적인 언사를 일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개인의 추측 및 견해에 불과하거나 진위가 확인되지 않은 내용을 공개적으로 퍼트려 게임산업의 위상을 실추시키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학회 측도 입장을 내고 게임업계의 대응에 즉각 반박했다. 

학회는 18일 입장문에서 "대기업이 학술단체인 학회를 고소하는 충격적인 사태를 접했다"며 "위메이드는 P2E 합법화 로비는 없었다고 말하는데 이재명 게임·메타버스 특보단장이었던 게임학회장과 윤석열 후보의 게임특별위원장이었던 하태경 의원이 경험한 집요한 P2E 합법화 시도는 누가 한 것이냐"고 반박했다.

협회를 상대로도 "게임의 사회에 대한 헌신과 공헌보다는 P2E업체 같은 일부 게임사의 이익을 대변하는 기관이 돼버린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떨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앞서 넷마블도 자사 가상자산인 '마브렉스(MBX)' 발행을 둘러싸고 김 의원 관련 의혹 제기에 대해 입장문을 냈다.

넷마블은 입장문에서 "마브렉스는 MBX 코인과 관련된 최근의 언론보도에 대해 김 의원을 포함해 어느 누구에게도 사전 정보를 제공한 사실이 일절 없다"고 밝혔다.

또 "이미 지난해 1분기에 MBX 상장 계획을 공지했기에 2022년 4월 무렵에는 이미 시장에 널리 알려져 있었던 바 이는 전혀 가치 있는 정보가 아니었다"고 일축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에스티팜 반월캠퍼스, 2년 연속 에코바디스 골드 메달 획득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에스티팜(대표 성무제)은 반월캠퍼스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글로벌 지속가능성 평가 기관 에코바디스(EcoVadis)로부터 골드 메달을 획득했다고 9일 밝혔다.에코바디스는 180개국 13만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Environment) 인권 및 노동(Labor & Human Rights) 윤리(Ethics) 지속가능한

2

소다, 롯데백화점 인천점 리뉴얼 오픈…새로운 BI 반영한 ‘도시적 무드’ 공간 선보여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국내 대표 슈즈 브랜드 소다(SODA)가 롯데백화점 인천점 매장을 새롭게 단장하며 리뉴얼 오픈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매장은 최근 소다가 선보인 새로운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공간 전반에 적용해 브랜드 정체성의 변화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번 리뉴얼의 핵심은 ‘도시적이고 세련된 무드’다. 소다는 새롭게 정의한 BI 콘셉트

3

CJ 온스타일, 미슐랭 레스토랑이 선택한 올리브오일 ‘마스뚜르조’ 10일 단독 론칭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최근 SNS를 중심으로 ‘올리브오일+레몬즙 건강 루틴’이 화제를 모으고 있는 가운데 이탈리아산 프리미엄 올리브오일 마스뚜르조(MASTURZO)가 오는 10일 오후 7시 35분, CJ온스타일을 통해 단독 론칭한다. 이번 방송에서는 유기농 올리브오일 4병과 NFC 레몬즙 1박스로 구성된 특별 세트가 국내 최초로 공개된다. 단순하지만 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