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건 혁신금융서비스 지정…업권 최다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교보생명은 지난 9일 금융위원회가 자사가 개발한 '보장 분석 인공지능(AI) 서포터'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다고 10일 밝혔다.
![]() |
▲교보생명은 지난 9일 금융위원회가 자사가 개발한 '보장 분석 인공지능(AI) 서포터'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됐다. [사진=교보생명 제공] |
교보생명은 금융규제샌드박스 제도 도입 이후 총 6건의 혁신금융서비스를 지정 받았다. 보험업권 최다 건수다.
'보장 분석 AI 서포터'는 AI 기반의 데이터 처리를 통해 방대한 양의 보장 분석을 쉽게 요약해 설계사에게 핵심 사항만을 제공한다. 복잡한 보험 상품의 보장 내용을 AI가 빠르게 분석해 상담 시간을 단축해준다.
AI를 활용함으로써 설계사의 실수를 줄이고 고객이 더욱 신뢰할 수 있는 객관적인 보장 내용을 제안할 수 있다. 고객 맞춤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필요한 보장을 명확히 찾아낼 수 있도록 도와 베테랑 설계사와 신인 설계사 간 전문성 간극도 좁혀준다.
금융당국은 지난 8월 금융사의 생성형 AI 활용 허용 등을 포함한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을 발표하며 업계의 혁신 서비스 발굴을 독려해왔다. 교보생명은 망분리 규제를 적용 받는 중에도 고객 가치 제고를 목표로 생성형 AI를 업무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당국의 망분리 규제 완화 정책에 발맞춰 개발한 것이 이번에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 받은 '보장 분석 AI 서포터'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보장 분석 AI 서포터'는 연내 시범 운영을 마치고 내년부터 현장에서 확대 활용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업무 혁신을 통한 소비자 편익 증대 등을 주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