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미 정부에 "SK 배터리 수입 최소 4년 연장해달라"

이석호 / 기사승인 : 2021-02-13 17:31:21
  • -
  • +
  • 인쇄
포드 CEO도 "LG·SK 합의해라"...합의 결렬 시 공방 치열할 듯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폭스바겐그룹(Volkswagen AG)이 LG에너지솔루션과의 '배터리 전쟁'에서 패배한 SK이노베이션이 생산하는 전기차 배터리 수입을 최소 4년간 연장해달라고 미국 정부에 요청했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폭스바겐그룹은 성명을 통해 "두 배터리 공급업체(LG에너지솔루션·SK이노베이션)간 전쟁으로 '의도하지 않은 피해자'가 됐다"며 "미국 내 계획된 전기차 생산에 필요한 배터리 수입 유예 기간을 연장할 것을 촉구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사진=연합뉴스 제공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지난 11일 LG에너지솔루션이 제기한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소송에서 LG 측 손을 들어주며 배터리 셀, 모듈, 팩 등과 관련 부품·소재에 대해 미국 내 수입 금지 10년 명령을 내렸다.

다만 SK이노베이션에 포드의 전기픽업트럭(F150)향 배터리 부품·소재 4년, 폭스바겐 MEB향은 2년 동안의 수입을 허용한 바 있다.

폭스바겐 측은 성명에서 "적절한 전환기간을 주기 위해 최소 4년간 연장을 요구할 것"이라며 "하지만 궁극적으로 두 공급업체가 법원 밖에서 합의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어 "폭스바겐이 테네시주에 전기차 공장을 짓고 수백명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데 8억 달러를 투자했다"며 "테네시 근로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로이터통신은 "짐 팔리 포드 CEO도 공개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이 합의에 이르기를 독려했다"며 "이전부터 폭스바겐과 포드는 이 분쟁이 핵심 전기차 부품 조달에 차질을 빚고, 코로나19 대유행 기간에 미국의 일자리를 읽게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도 ITC가 SK이노베이션에 내린 판결 조치에 대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성명을 낸 바 있다.


한편, 이번 ITC 최종 판결로 배터리 전쟁이 LG 측 완승으로 일단락된 듯했지만, 남은 절차가 진행되면서 양사가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경우 어느 일방의 승리가 될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다.

향후 바이든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이목이 쏠리는 가운데 미국 내 전기차 산업 생태계와 일자리 문제가 대두되면서 양측이 합의에 실패할 경우 원인 제공에 대한 공방도 치열하게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동제약그룹 아이디언스, EAEU·GCC 지역 항암신약 라이선스 계약 체결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일동제약그룹의 항암 신약 개발 계열사 아이디언스(대표 이원식)가 자사 표적항암제 신약후보물질 베나다파립(Venadaparib)의 EAEU(유라시아경제연합) 및 GCC(걸프협력이사회) 지역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이번 계약은 선급금과 마일스톤 등을 포함해 총 5천만 달러(약 700억 원) 규모로, 아이디언스가 완제 의

2

KB금융, '2024 자연자본 공시 보고서' 발간
[메가경제=최정환 기자] KB금융그룹은 지난 7일 ‘푸른 하늘의 날’을 맞아 자연자본과 금융의 연계성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글로벌 기준과의 정합성을 확보한 '2024 자연자본 공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8일 밝혔다.자연자본 공시란 기업이 자연 관련 위험과 기회를 재무적으로 평가하고 관리 방안을 투자자에게 공개하는 제도다. 지난 2021년 6월

3

삼성디스플레이, 세계 최대 모빌리티 전시 獨 'IAA 모빌리티 2025' 참가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차세대 성장동력 중 하나인 오토(Auto) 사업 성장을 위해 차량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포트폴리오를 대폭 강화하고 고객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오는 9일부터 14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모빌리티 전시회 'IAA 모빌리티 2025'에 전세계 패널 업체 중 유일하게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