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철도공단 발주 현장서 2명 숨져...국토부, 내달까지 특별점검
올해 첫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을 앞두고 지난해 4분기 전국 건설현장에서 총 38명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는 등 여전히 안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
▲ 11일 오후 4시께 광주 서구 화정동에서 신축 공사 중인 고층아파트의 외벽이 무너져내렸다. [사진=연합뉴스] |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4분기 중 건설사고 사망자가 발생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와 관련 하도급사, 발주청, 지자체 등 명단을 27일 공개했다.
이 기간에 사망한 현장 근로자 수는 총 38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국내 상위 100대 대형건설사 중 14곳의 전국 16개 현장에서 총 17명의 근로자가 숨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KCC건설, 극동건설, 삼부토건 등 3개 회사에서 각각 2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외에도 삼성물산과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 11개 건설사에서는 각 1명씩의 사망자가 나왔다.
하도급사 중에서는 구산토건, 아이엘이앤씨, 산하건설, 정품건설 등 16개 회사에서 사망사고가 벌어졌다.
같은 기간 동안 가장 많은 사망자가 나온 발주청은 국가철도공단으로, 한라가 시공한 경의선 상산천교 외 1개소 교량개량 공사 현장과 KCC건설이 시공한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GTX) 제1공구 노반 공사 현장에서 각각 1명의 근로자가 목숨을 잃었다.
또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인허가 기관은 경기도로 남양주시·안성시·광주시·김포시·수원시·양평군·오산시·파주시·처인구·평택시에서 총 13명이 사고를 당해 목숨을 잃었다.
▲ 상위 100대 건설사(하도급사 포함) 사망사고 발생현황(`21.10∼12월) [출처=국토교통부] |
국토부는 사망사고가 발생한 30개 대형건설사와 관련 하도급사에 대해 내달까지 특별점검에 나서 안전수칙 준수여부, 품질관리 적정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지도할 방침이다.
앞서 지난해 3분기 사망사고가 발생한 대형건설사의 현장 114곳과 관련 하도급사가 참여 중인 현장 13곳에 대해서는 특별·불시 점검 결과 총 212건의 부적정 사례를 적발해 시정조치를 내렸다.
이 중 품질시험장비를 부적정하게 사용한 회사와 건설기술인에게는 벌점도 부과할 예정이다.
김영국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지난달 11일 발생한 현대산업개발의 아파트 붕괴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건설 주체들이 경각심을 갖고 긴장감 있게 안전을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번 특별점검을 통해 안전과 품질이 최우선되는 현장 관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