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권 민원 최다 씨티은행·국민카드·KDB생명·MG손보·대신증권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04-08 08:26:12
  • -
  • +
  • 인쇄
사모펀드 사태 등으로 금융투자·은행 민원 급증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지난해 금융업종별로 민원이 가장 많았던 금융사는 씨티은행, 국민카드, KDB생명보험, MG손해보험, 대신증권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7일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2020년도 금융민원 및 금융상담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고객 10만명당 환산 민원건수를 기준으로 은행권은 씨티은행이 10.7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른 업권에서는 KB국민카드(9.9건), KDB생명(145.5건), MG손보(43.1건), 대신증권(9.7건), 동원제일저축은행(5.7건)이 민원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금융민원은 전년대비 9.9% 증가한 9만334건이었다. 사모펀드, 파생상품 관련 민원 증가로 금융투자업(7690건), 은행업(1만2237건) 관련 민원이 각각 74.5%, 20.6% 급증했고, 보험업은 4.1%, 비은행업은 3.9% 늘었다.
 

▲ 금융민원 권역별 건수 및 비중 현황 [그래픽=금융감독원]

 

은행 민원은 여신(37.7%), 예·적금(11.7%), 방카슈랑스·펀드(7.8%), 인터넷·폰뱅킹(6.9%) 순으로 많았다. 대출금리 관련 민원이 1535건이었고, 여신 신규·만기연장 거절 997건, 펀드 설명부적정 785건, 전자금융사비관련 777건 등이었다.

 

금융투자업 민원 중 증권사 민원은 사모펀드와 레버리지 WTI 원유선물 등 파생상품 관련 민원 증가로 인해 4849건으로 76.4% 증가했다. 민원유형별로는 내부통제·전산장애(22.7%), 수익증권(25.1%), 주식매매(15.6%), 파생상품매매(4.4%) 등 순으로 집계됐다.


생명보험업은 2만1170건으로, 보험모집(52.6%) 관련 민원이 가장 많았다. 손해보험업은 3만2124건으로, 보험금 산정과 지급이 가장 큰 비중(44.2%)을 차지했다.

비은행업의 경우에는 부당 채권추심 관련 민원(26.1%)이 많이 증가함에 따라 대부업 민원이 전년보다 13.6% 늘었다. 신용카드사 민원 비중이 35.7%로 가장 높았고 이어 대부업자(18.9%), 신용정보사(14.2%) 등 순이었다.

민원 처리 건수는 전년대비 7.4%(5920건) 증가한 7만5649건이었고, 평균 처리기간은 29일로, 해외금리연계 DLF 및 사모펀드 관련 대규모 분쟁민원 발생에 따라 같은 기간 4.2일 증가했다.민원 수용률은 평균 36.8%에 불과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민원 접수 건수가 전 권역에서 증가하고, 민원 내용도 복잡해짐에 따라 일반·분쟁민원의 평균 처리기간이 모두 증가했다”며 "사후정산방식의 분쟁조정을 통해 처리기간을 단축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참좋은여행,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참좋은여행은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됐다고 12일 밝혔다.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은 고용노동부가 2018년부터 매년 일자리 창출과 일자리 질 개선을 선도적으로 실천한 100개 기업을 선정해 격려하는 제도다. 참좋은여행은 이번 평가에서 고용 확대 노력 청년·여성 친화적 고용 환경 안정적

2

CJ프레시웨이, 미식 콘텐츠 플랫폼 ‘메티즌’과 협업
[메가경제=심영범 기자]CJ프레시웨이는 미식 콘텐츠 플랫폼 ‘메티즌’과 손잡고 상품 기획, 레시피 개발, 비즈니스 컨설팅 등 외식업자의 사업 성공을 돕는 비즈니스 솔루션 역량을 홍보한다고 12일 밝혔다. CJ프레시웨이는 메티즌과 함께 셰프 콜라보레이션 활동을 추진한다. 자체 외식 식자재 브랜드 ‘프레시원’의 주요 상품을 활용한 셰프 레시피를 협업 개발하고,

3

애경산업, 추석 앞두고 협력사에 납품대금 조기 지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애경산업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협력사 납품대금을 현금으로 조기 지급한다고 12일 밝혔다. 애경산업은 자사와 거래하는 67개 협력사를 대상으로 82억원 수준의 납품대금을 당초 지급일보다 최대 5일 앞당겨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삼중고 영향으로 자금 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협력사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