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C, 지방공항 방한외래객 유치 위한 '특별점검회의'개최

문기환 기자 / 기사승인 : 2023-08-08 12:10:34
  • -
  • +
  • 인쇄
7개 국제공항 여객 645만명 달성…연간 1천300만명 국제 여객달성 추진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공항공사는 지난 7일, 올해 항공수요 실적을 점검하고, 국제선 여객 1천300만명 목표 달성을 위한 특단의 대책 마련을 위해 전국 7개 국제공항장과 특별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7개 국제공항은 김포·김해·제주·청주·대구·무안·양양국제공항 등이다.  

 

▲ 김포국제공항 계류장 전경

 

회의에 앞서 윤 사장은 “지금은 국제노선의 적극적 확충을 위해 공사의 모든 역량을 집중할 시기다”고 밝히며, ‘방한 외래객 3천만 명 유치’ 및 ‘지방공항 인바운드 유치를 통한 내수경제 활성화’ 등 정부 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엔데믹 전환에 따른 지방 공항 항공 수요 진작을 위한 다양한 방안에 대해 논의를 했다.

전국 7개 국제공항에서 국제항공노선을 이용한 여객은 7월까지 645만명을 달성했으며, 이는 지난 2022년 연간 이용객 178만명을 훌쩍 뛰어넘은 수치이나, 2019년 동기간 국제선 여객의 52% 수준에 불과한 실적이다.


공사는 지방공항 방한 외래객 유치를 위해 올해 11월 김포-하네다 노선 운항 20주년을 계기로 김포공항의 비전을 선포하고 김포, 김해 등 지방공항과 일본노선 추가 신설을 추진하여 지방에서의 일본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중국과도 오는 9월 항저우 아시안게임을 계기로 교류 확대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고 단체관광 규제 해제에 대한 준비도 필요함에 따라 중국 북경 수도공항그룹(베이징, 텐진 등 중국 내 53개 공항 운영회사)과 양국 도시 간의 빠른 항공수요 회복을 위한 로드맵을 조기에 수립하여 실행할 계획이다.


공사는 수도공항그룹과 일본 하네다공항 등 해외공항 당국과 워킹그룹을 구성해 조기 항공수요 회복을 추진 중이다.

오는 10월 부산에서 개최예정인 원아시아페스티벌 등 지역별 K-컬쳐 이벤트와 연계하여 부산시 등 지자체와 적극 협력하고, 해외 현지 유명 유튜버, 글로벌 OTA, 야놀자 등과 협업해 지방공항 연계 관광상품 개발과 판매 촉진을 통해 실질적인 항공수요 진작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와 노선개발을 추진한다.  

 

▲ 김포공항 국제선 터미널 전경

 

또한 올해 10월에는 세계항공노선개발회의(World Route Development Forum)가 튀르키예에서 개최되는데, 공사는 지자체와 함께 참가해 해외 항공사, 공항운영자, 여행사에게 한국 항공시장의 잠재력을 알리고 새로운 항공노선 유치를 위해 적극적으로 홍보활동을 전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아모레퍼시픽, 플랫폼 통합 뷰티 축제 ‘아모레 뷰티 페스타’ 진행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아모레퍼시픽이 이달 17일부터 23일까지 일주일간 국내 주요 온라인 플랫폼과 대규모 통합형 뷰티 축제 ‘아모레 뷰티 페스타(이하 아뷰페)’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롯데온, 롯데백화점몰, 쓱닷컴, 더현대닷컴, GS SHOP, CJ온스타일, H몰 등 국내 대표 유통 플랫폼들이 참여한다. 행사 기간 동안 아모레퍼시픽은 총 25회 라이브

2

미래에셋자산운용, '제38회 우리아이 글로벌리더 대장정' 진행
[메가경제=윤중현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중국 상해에서 '제38회 미래에셋 우리아이 글로벌리더 대장정'을 진행했다고 17일 밝혔다. 미래에셋 우리아이 글로벌리더 대장정은 어린이들이 글로벌 리더로서의 기초 소양을 함양할 수 있는 해외 탐방 프로그램이다. '미래에셋우리아이3억만들기증권자투자신탁G1호'와 '미래에셋우리아이친디

3

LG에너지솔루션, 국산 ESS용 LFP 배터리 생산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은 충북도와 함께 오창 에너지플랜트에서 ‘ESS용 LFP 배터리 국내 생산 추진 기념 행사’를 갖고 국내 에너지 산업 생태계 강화 및 기술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17일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말부터 생산 라인 구축을 시작해 2027년부터 본격 가동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초기 생산은 1GWh 규모로 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