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9월 미국 판매 역대 동월 최다

장준형 / 기사승인 : 2023-10-04 16:54:24
  • -
  • +
  • 인쇄

[메가경제=장준형 기자] 현대차그룹이 지난달 미국 시장에서 역대 9월 최고 실적을 올렸다.


현대차그룹은 지난달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의 미국 판매량이 14만286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4%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현대차 투싼. [사진=현대차]


업체별로는 현대차가 17.5% 늘어난 7만5천605대를, 기아가 19.5% 증가한 6만7264대를 미국 시장에서 팔았다. 현대차의 고급 브랜드인 제네시스의 판매량은 6천644대로 35.4% 늘었는데 이는 역대 월간 최다 판매 기록이다.

도요타(13.9%), 혼다(45.5%), 마쓰다(17.9%), 스바루(23.4%) 등 현재까지 미국 실적이 공개된 다른 완성차 업체와 비교할 때 현대차그룹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평가를 거뒀다는 평가다.

현대차와 기아의 호실적은 세 자릿수 판매 증가율을 기록한 친환경차가 이끌었다.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미국에서 총 2만5천701대의 친환경차를 팔았는데, 이는 작년 동월보다 128.2% 늘어난 것이다. 이에 따라 전체 판매량에서 친환경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18.0%까지 커졌다.

현대차와 기아의 친환경차 판매는 각각 1만5천900대, 9천801대로 집계되며 128.9%, 127.1%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중 하이브리드차(HEV)는 총 1만5천683대가 팔리며 103.6%라는 가장 높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기아 스포티지. [사진=기아]

투싼 HEV(3천846대), 스포티지 HEV(2천741대), 쏘렌토 HEV(2천224대), 싼타페 HEV(2천101대) 등의 순으로 팔렸다. 싼타페 HEV는 역대 월간 최다 판매를 기록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여파 속에서도 지난달 미국 시장에서 현대차그룹 전기차는 183.1% 늘어난 1만2대가 팔렸다. 올해 7월부터 3개월 연속 전기차 판매량이 1만대 이상을 나타냈다.

전기차 차종별로는 현대차 아이오닉5가 3천958대로 가장 많이 팔렸고, 이어 기아 EV6(2천84대), 현대차 아이오닉6(1천665대),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828대) 등의 순이었다.

업체별로 전체 베스트셀링 모델을 살펴보면 현대차는 투싼이 1만8813대로 가장 많이 팔렸고, 이어 싼타페(1만2천676대), 아반떼(9천405대) 등의 순이었다.

지난달에 가장 많이 팔린 기아 모델은 1만1562대의 스포티지였고, 이어 K3 1만737대, 텔루라이드 9천147대 등의 순이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장준형
장준형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LG생활건강, 세계적 권위 ‘IDEA 디자인 어워드’ 2관왕 달성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LG생활건강이 미국 IDEA 디자인 어워드에서 브랜딩과 패키징 부문 본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글로벌 디자인 경쟁력과 브랜드 가치를 입증했다.올해 IDEA 디자인 어워드 브랜딩 부문에서는 ‘더후 브랜드 북(The Whoo Brand Book)’이, 패키징 부문에서는 ‘유시몰 클래식 치실’이 각각 본상에 선정됐다. 더후 브랜드 북은 궁중

2

"롯데카드는 롯데 계열사 아냐" 해킹 사고에 롯데그룹까지 피해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인한 피해가 롯데그룹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롯데카드의 대주주는 MBK파트너스로, 롯데그룹 계열사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다수 고객이 롯데카드를 그룹 계열사로 오인하면서 브랜드 가치 훼손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롯데는 2017년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 금융·보험 계열사 지분을 보유할 수 없게 되면서, 2019

3

CJ그룹, 추석 앞두고 중소 협력사 3천억원 조기 지급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CJ그룹(회장 이재현)이 추석 명절을 앞두고 중소 협력업체와의 상생을 위해 결제 대금 3천억원을 조기 지급한다. CJ제일제당, CJ올리브영, CJ대한통운, CJ프레시웨이, CJ올리브네트웍스 등 주요 5개 계열사가 참여하며, 총 3천800여 납품업체가 혜택을 받는다. 지급은 오는 26일부터 명절 연휴 전까지 이뤄지며, 기존 지급일보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