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피크 적용 직원배치도 골치 아파져
[메가경제=송현섭 기자] KB국민·신한·NH농협은행 등 주요은행의 희망퇴직 인원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19.7%, 314명이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올해 신입사원 공채에 악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희망퇴직자를 확정해 오는 19일자로 674명이 직장을 떠나게 되는데 지난해 퇴직자 713명에서 39명이 감소했다. 지난달 희망퇴직 신청을 받은 신한은행은 하반기 231명을 제외하고 전년도보다 154명 줄어든 234명의 퇴직을 확정했다.
![]() |
▲KB국민·신한·NH농협은행 등 주요은행의 희망퇴직 인원이 지난해 상반기보다 19.7%, 314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올해 신입사원 공채에도 악영향이 우려된다. 서울시내 전경 자료 이미지 [사진=연합뉴스] |
가장 먼저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던 NH농협은행의 경우 전년보다 121명 줄어든 372명이 퇴직했다. KB국민·신한·NH농협은행 등 3개 은행 희망퇴직자는 1280명으로 지난해 상반기 1594명에 비해 314명 줄어 전년대비 19.7%의 감소율을 보였다.
오는 31일로 희망퇴직자 신청 마감을 앞둔 하나은행과 우리은행 역시 예년보다 퇴직자수가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현상은 금융당국에서 희망퇴직자에 대한 특별 퇴직금이나 위로금을 놓고 은행들을 맹비난하자 눈치를 보다 퇴직조건을 낮춘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은행들의 올해 신입사원 공개채용과 점포·인력 구조조정에 따른 인력 재배치는 물론 임금피크제를 적용받는 직원의 배치 등에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효율성이 떨어지는 영업점간 통폐합과 일부 지점 폐쇄로 가뜩이나 줄어든 점포에 배치할 자리가 없다는 것이 금융권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무엇보다 고연령대 고임금을 받아온 직원들의 자연 감소를 유도하는 퇴로가 좁아져 신입직원 채용자를 확대하기 힘든 상황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자칫 과도할 수 있는 금융당국의 경영개입에 대해 은행들이 앞다퉈 전년보다 평균 4∼5개월에서 많게는 6개월치 임금을 특별퇴직금에서 삭감한 여파가 후속 파장을 불러일으킨 셈이다.
실제로 올해 희망퇴직에 따른 특별퇴직금은 지난해보다 대략 2000만원에서 많게는 3000만원 정도 줄어들어 퇴직 희망자가 감소한 것이라는 것이 금융권 노조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고령의 직원들이 은행을 나갈 메리트가 없어 당장 퇴직할 수 없다는 심리가 작용했다는 논리다.
은행별 인력 운용계획도 차질이 우려되는데 임금피크 적용 또는 희망퇴직으로 자연 감소해야 할 1960년대생들이 여전히 조직에 남게 돼 임금부담과 인력 배치에 혼선이 예상된다. KB국민은행의 경우 희망퇴직 신청을 1972년생까지 전년과 같이 받았으나 결과는 예년보다 저조했다.
그나마 연초에 특별퇴직금 지급으로 인한 일시적인 비용 증가폭이 줄어들어 금융당국의 눈치를 조금 덜 보게 된 점이 다행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주요은행들은 최근 수년간 디지털화와 비대면 거래 활성화 등을 통해 전통적인 영업점 위주의 비효율적인 사업구조를 개선해왔다.
고령 고임금 직원의 자연 감소를 위해 희망퇴직을 진행하고 오프라인 점포 줄이기를 통해 비효율성을 제거하는 등 노력으로 역대급 수익을 창출해온 것이다. 정부나 사회 일각에서 주장하듯 소위 ‘이자 장사’보다는 각종 구조조정에 따른 수익 창출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결정과 시장의 매커니즘에 따라 결정되는 수익구조에 따른 규제가 여전한 가운데 수익을 창출한 배경에는 조직운영 효율화 성과가 있다는 것이 금융권의 중론이다. 고임금자의 퇴직으로 신규 직원을 채용해 중장기적으로 근로자 임금을 줄여온 점도 주목된다.
그러다 보니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은행 경영에 대한 개입 수준이 지나치다며 과거 수십년 전 재무부 산하 금융기관으로 전락한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흘러나올 정도다. 특히 5대 주요은행은 그동안 매년 희망퇴직 인원과 비슷한 수준의 신규 채용을 진행해 왔다. 올해는 희망퇴직자 감소로 지난해 2500여명의 채용 규모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업계 안팎의 관측이 우세한 상황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