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9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4차 유행을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현재 수도권에 운영 중인 임시선별검사소를 비수도권까지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며 운영계획을 설명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14일부터 서울‧경기‧인천의 수도권 지역 내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일반시민 누구나 검사받을 수 있는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운영 중에 있다.
![]() |
▲ 7일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중구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서울= 연합뉴스] |
당초 153개소를 설치·운영했으나 3차례 운영을 연장하며 현재는 총 98개가 운영되고 있다.
지난 3개월여 동안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운영을 통해 일평균 2만8476건, 총 242만여 건의 검체를 검사했으며, 이를 통해 총 6522명의 확진자(양성율 0.27%)를 찾아냈다.
이는 같은 기간에 발생한 전체 확진자 4만8905명의 13.3%에 해당할 정도로 높은 비율이다.
정부는 이처럼 임시선별검사소의 운영이 지역사회 내 숨은 감염원을 조기 확인하는 성과가 있다고 판단, 이를 비수도권까지 확대하기로 했다는 설명이다.
![]() |
▲ 지난 7일 서울역 광장에 마련된 중구 임시 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서울= 연합뉴스] |
정부는 검사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해 수도권처럼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임시선별검사소를 설치하고 유전자증폭(PCR) 검사 진단검사비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증상 유무 등과 관계없이 누구나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는 지자체 수요조사(3.4일∼3.6일) 결과에 따라 부산, 울산, 광주, 대구, 천안, 아산 등 6개 지자체에서 각 1개소씩 운영할 예정이다.
일단 4월까지 2개월 간 운영해본 이후 평가를 통해 추가 운영 여부를 검토할 예정이다. 방역당국은 “증상이 없는 경우에도 코로나19 검사가 가능하므로 적극적으로 검사에 참여할 것”을 당부했다.
다만, 코로나19 의심증상이 있거나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경우는 효율적인 확진자 관리와 검사를 위해 선별진료소를 방문해 검사를 받아달라고 부탁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