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잇단 사고 자체 수습 과정 보니 '대응은 없고 방어모드'만...

문혜원 / 기사승인 : 2024-08-30 09:06:28
  • -
  • +
  • 인쇄
금감원, 경영진 책임론 겨냥 속 28일 임원 긴급회의 개최
내부서 책임지우기 출구 전략 고심 '검찰 수사 결과'관건
12월 임기만료 임박 조병규 행장 연임 불투명 가능성 시사

[메가경제=문혜원 기자] 우리금융이 최근 불거진 전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사태 논란과 관련 현 경영진 책임론이 부각되는 양상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28일 내부적으로 임원 간 긴급회의를 개최해 대책마련에 나선 모습이지만 이렇다 할 결론은 나오지 않고 있다는 평가가 주류를 이룬다. 이를 두고 업계 안팎에선 지나친 당국의 압박도 문제이지만, 우리금융의 최고경영자(CEO) 책무 대응책도 소홀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 우리금융그룹 본사. [사진=우리금융그룹]

 

30일 금융권과 메가 경제 취재결과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을 둘러싼 특혜대출 의혹과 관련해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우리금융은 앞서 28일 임종룡 회장 주재로 긴급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임 회장은 부당대출 사태와 관련해 '국민들에게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또 최근 검찰이 강제수사에 들어온 것에 대해서도 '성실히 수사에 임하겠다'라는 겸허한 입장도 전했다. 

 

하지만 당일 회의에서는 정작 CEO 책임여부 관련 어떠한 결론도 공식적으로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에 대한 금감원 발표와 검찰의 표적수사로 인해 이벤트 성 긴급회의를 진행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실정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우리금융이 정작 사태 책임에 대한 이렇다 할 대응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내부 복수 관계자들에 따르면 당일 긴급회의 이면에는 대출 부실 문제 관련 대응책 마련에 고심했다는 후문이다. 특히 이복현 금감원장이 임종룡 회장과 조병규 우리은행장 책임론을 거론하며 압박하는 상황 속에서 두 경영진 간 거취 여부에 대한 논의도 이뤄진 것으로 전해진다. 

 

실제로 금융권에서는 우리금융의 잇따른 금융사고에 대한 CEO 리스크 관리 미흡 등으로 임 회장과 조 행장에 대한 거취에 주목하는 양상이다. 

 

업계에 따르면 이미 내부에서는 임 회장의 경우 “현 정부 타깃이 됐다”라는 설도 돌았고 12월 말 임기 만료를 앞둔 조 행장이 잇단 사고의 최종 책임자이니 연임 불투명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전망된다는 전언이다. 

 

익명을 요구한 우리금융 내부 관계자는 "임원 간 긴급회의에 앞서 이사회가 먼저 진행됐는데, 동양·ABL생명 보험사 M&A 체결 성사를 시키면서 이에 대한 부분만 논의된 것으로 안다"라며 "비공식적으로는 경영진 책임에 대한 거취 여부도 진행된 것으로 안다"고 귀띔했다. 

 

금융권 안팎에선 이번 우리금융의 사고 책임에 대한 모든 결론은 최근 검찰의 압수수색에 대한 수사 결과가 관건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수사 혐의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 속에서 우리금융도 이렇다 할 사태 책임 대응책을 못 내놓을 것"이라며 "전임 회장 당시 문제됐던 대출이긴 하지만 현 시점까지 대출취급 상황을 전면적으로 보는 표적 수사 상황이어서 추가 문제가 드러날 시 현 회장과 행장의 거취도 결정 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남부지검 금융조사1부(부장 김수홍)는 지난 27일 우리은행 대출비리 의혹과 관련해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 여신감리부서, 구로구 신도림금융센터, 강남구 선릉금융센터 등 사무실 8곳을 압수수색했다. 이와 함께 사건 관련자들의 주거지 4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이는 금감원이 수사를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올해 상반기 특별조사를 통해 우리은행이 2020년 4월 3일부터 올해 1월 16일까지 손 전 회장의 친인척과 관련된 법인 등에 616억원 규모의 대출을 해준 것으로 파악했다. 금감원은 이 중 28건, 350억원 상당이 정해진 심사를 제대로 거치지 않는 등 부당하게 집행한 대출인 것으로 판단했다. 

 

앞서 임 회장은 지난 12일에도 이번 사안과 관련해 "전적으로 저를 포함한 경영진의 피할 수 없는 책임"이라며 대국민 사과 메시지를 발표한 바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