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가경제=이석호 기자] 현대차그룹 사내 스타트업 4개사가 독립 기업으로 새 출발한다.
현대차그룹은 '모빈(MOBINN)', '어플레이즈(APLAYZ)', '서프컴퍼니(SURFF Company)', '카레딧(CaREDIT)' 등 사내 스타트업 4곳을 분사시켰다고 9일 밝혔다.
![]() |
▲ 현대차그룹 양재 사옥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제공] |
모빈은 자율주행 배송 로봇을 자체 개발하고, 라스트마일 특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모빈이 개발한 배송 로봇은 고무소재 바퀴로 계단을 자유롭게 오르내리며, 라이다와 카메라로 주·야간 자율주행도 가능하다.
어플레이즈는 AI를 기반으로 공간별 맞춤 음악을 자동 선정·재생하는 서비스를 운영한다.
현대차그룹 양재 본사에서도 운영되는 이 서비스는 시간, 날씨 등 외부 요인과 방문자의 이용 목적, 특성, 취향 등을 실시간으로 재생에 반영한다.
서프컴퍼니는 물류업체의 원활한 해상 화물 운송을 위해 선박 내 화물 적재 공간인 선복을 실시간 공유·중개하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기존에는 물류업체가 유휴 선복을 찾지 못해 물류 장애가 생기거나 갑작스러운 물동량 변동으로 선복이 남아 비용을 지불하는 등 애로사항이 있었다.
서프컴퍼니가 개발한 선복 공유 플랫폼은 선사·선박별 선복 현황을 실시간 공유하고 물류업체 간 유휴 선복 거래를 중개해 원활한 해운환경을 조성한다.
카레딧은 차량별 정비 이력 데이터를 수집해 부품 수명과 수리비를 예측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향후에는 중고차 판매사, 보험사, 차량금융사 등 자동차 애프터 마켓에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2000년부터 사내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 '벤처플라자'를 운영해오다 2021년 '제로원 컴퍼니빌더'로 이름을 바꾸고 사업 선발 범위도 넓혔다.
선발된 스타트업은 최대 3억 원의 개발비용을 지원받고, 1년간 제품·서비스 개발과 사업화 기간을 거친 뒤 분사 또는 사내 사업화 여부를 결정한다.
이와 함께 창업 부담을 덜어주는 차원에서 분사 후 3년까지 재입사 기회를 준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총 76개 팀을 선발 및 육성했고 올해까지 30개 기업이 독립 분사했다"며 "앞으로도 적극적인 오픈이노베이션 활동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스타트업을 배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