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산2' 배성재 "션·임세미 등 부재? 시즌2 힘들다고 다 도망가…" 충격 발언?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8 08:14:48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MBN 마라톤 예능 ‘뛰어야 산다 시즌2’의 배성재가 두 번째 레이스에 불참하는 션, 고한민, 임세미를 언급하면서 ‘뇌피셜’을 가동해 웃음을 안긴다. 

 

▲'뛰어야 산다2'. [사진=MBN]

 

12월 1일(월) 밤 10시 10분 방송하는 MBN ‘뛰어야 산다 시즌2’(이하 ‘뛰산’) 2회에서는 ‘뛰산 크루’가 두 번째 미션이자 첫 단체전인 ‘2025 MBN 전국 나주 마라톤대회’ 참여를 위해 집결한 현장이 공개된다.

 

대회를 하루 앞두고 나주로 내려온 ‘중계진’ 배성재와 ‘뛰산 크루’ 이영표, 양세형, 최영준, 정혜인은 두 번째 레이스에 임하는 각오를 밝힌다. 특히 영산강을 따라서 하프 코스를 달리는 이번 코스는 무려 1만 2천명이 참여하는 첫 단체전인데, 이와 관련해 배성재는 “좀 센 대회인데, 저희가 선수 풀이 너무 적다”마 살짝 걱정한다. 이어 그는 “시즌2가 첫 촬영부터 너무 힘들다고 다 도망갔다”며 갑자기 ‘뇌피셜’을 투척한다. 이영표는 빵 터져 웃으며, “맞다. (멤버들이) 촬영장에 안 나오려고 그래~”라고 호응한다. ‘집단 촬영 거부’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배성재는 이날 불참한 션, 고한민, 임세미의 사유를 솔직히 전한 뒤, 시즌2에 도전한 ‘뉴페이스’를 소개해 분위기를 반전시킨다. 

 

가장 첫 번째로, 그룹 하이라이트 멤버 이기광이 경쾌하게 뛰면서 등장한다. 배성재는 “뛰는 폼이 너무 안정적이다”라며 기대감을 드러낸다. 양세형은 “기광이는 완전 운동신이다. 에이스 등판!”이라고 극찬한다. 모두의 환대 속, 이기광은 “취미라고 할 게 운동밖에 없다. 축구, 헬스, 러닝을 꾸준히 해왔다. 한 번 시작한 건 끝까지 한다. 지고 싶지 않다”고 당찬 출사표를 던진다. 

 

뒤이어 ‘독기 여신’ 배우 임수향, ‘운동 천재’ 유선호까지 합류한다. 임수향은 “내 한계를 조금씩 늘려가는 가운데 러닝의 매력을 느꼈다”며 의욕을 보이고, 유선호는 “이영표 삼촌 덕분에 러닝을 시작했다”고 말한다. 이때 양세형은 “왜 (이영표 부단장을) 삼촌이라고 부르냐?”며 의문을 제기한다. 유선호는 이에 나름의 기준과 이유를 밝혀 현장을 초토화시킨다. 

 

유선호가 생각하는 ‘삼촌’의 기준이 무엇인지, 그리고 ‘뛰산 크루’가 시즌2의 첫 단체전에서 포디움(시상대)에 설 수 있을지는 12월 1일(월) 밤 10시 10분 방송하는 MBN ‘뛰어야 산다 시즌2’ 2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진심감성, 회화 작가 윤덕현과 12번째 ‘진심 ART 콜라보레이션’ 진행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리빙 브랜드 진심감성은 회화 작가 윤덕현과 함께 예술작품 엽서를 제품 패키지에 동봉하는 ‘진심 ART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예술을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기획된 문화 예술 협업 프로젝트로, 소비자가 제품을 받아보는 과정에서 회화를 함께 경험하도록 구성됐다. ‘진심 ART 프로젝트’는

2

셀트리온,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아이덴젤트’ 캐나다 허가…북미 시장 공략 가속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셀트리온이 안과질환 치료제 ‘아일리아(EYLEA)’의 바이오시밀러 ‘아이덴젤트(EYDENZELT)’에 대해 캐나다 보건부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하며 북미 시장 내 입지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와 유럽(EC), 미국에 이어 캐나다에서도 허가를 확보하며 약 13조원 규모의 글로벌 시장 공략이 순항하는 모습이다.셀트리온은 28일

3

캐딜락, 2026년까지 송파·수도권 서부·부산에 신규 전시장 3곳 연다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럭셔리 브랜드 캐딜락이 전국 세일즈 네트워크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캐딜락은 오는 12월 서울 송파 전시장 신규 오픈을 시작으로 2026년 상반기까지 수도권 서부와 부산에 전시장을 추가 신설한다고 28일 밝혔다.캐딜락은 이번 전시장 확장을 통해 수도권 동남부·서부 및 영남권 고객 접근성을 강화하고, 전국 고객 대상 브랜드 경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