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밸류업 드라이브로 'PBR 1배'의 벽 넘겠다"

문혜원 / 기사승인 : 2025-02-27 18:26:05
  • -
  • +
  • 인쇄
밸류업 의지 담은 CEO 인터뷰 공개
주가 부양 및 PBR 1배 달성 목표

[메가경제=문혜원 기자]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기업 밸류업'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하겠다면서 "그룹의 PBR(주가순자산비율)이 1배에 도달하는 것은 시간 문제"라고 포부를 밝혀 주목된다.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은 27일 국내 금융지주 최초로 기업 밸류업(Value up)에 대한 경영진의 의지를 담은 CEO 인터뷰 영상을 공개했다. [사진=하나금융그룹 제공]

 

하나금융은 국내 금융지주 최초로 기업 밸류업(Value up)에 대한 경영진의 의지를 담은 CEO(최고경영자) 인터뷰 영상을 27일 공개했다.

 

함영주 회장은 이번 영상에서 "글로벌 금융그룹의 위상에 걸맞은 적극적 주주환원 정책을 통해 저평가된 주가를 빠르게 회복해 PBR(주가순자산비율)을 1배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선언하며 의지를 보였다. 하나금융의 PBR은 현재 0.41 수준이다.

 

하나금융은 올해부터 연간 현금배당총액 고정 및 분기 균등 현금배당을 시행해 배당 규모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주주들의 안정적 현금흐름 확보에 기여할 방침이다. 또 자사주 매입·소각 비중 확대를 통해 주당순이익(EPS), 주당순자산(BPS) 등 기업가치 측정의 핵심 지표를 개선하고 발행주식수 감소에 따른 주당 배당금의 점진적 증대도 도모할 계획이다.

 

함 회장은 주주환원 확대의 전제 조건으로 지속가능한 이익 창출과 전략적 자본관리 정책도 강조했다. 함 회장은 "밸류업의 핵심은 한정된 자본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속가능한 수익 구조를 만드는 것"이라며 "비은행 사업 포트폴리오 강화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하나금융의은 각 계열사가 자체적인 경쟁력을 갖출 뿐만 아니라 14개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높여 그룹의 비은행 부문 수익 기여도를 향후 3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하나금융은 주주환원의 기반이 되는 보통주자본비율(CET1)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그룹의 위험가중자산 성장률을 국내 명목 GDP 성장률 수준에서 관리한다는 자본정책을 수립하고 보통주자본비율은 13.0% ~ 13.5%의 구간에서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주주환원을 늘려나갈 방침이다.

 

한편, 이번 영상은 그룹의 공식 유튜브 채널인 ‘하나TV’에서 주주들이 손쉽게 시청할 수 있도록 공개됐다. 그룹 주주의 약 70%를 차지하는 해외 투자자들을 위해 영문 자막 영상도 마련했다. 올 들어 하나금융그룹의 약 10% 상승하면서 ‘밸류업 우등생’ 역할을 해내고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문혜원
문혜원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체스터톤스호텔앤드레지던스, ‘체스터톤스 중앙 예약 시스템’ 공식 오픈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체스터톤스호텔앤드레지던스가 전국 지점의 예약·정산·운영정보·고객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한 ‘체스터톤스 중앙 예약 시스템 (CCRS, Chestertons Central Reservation System)’을 공식 오픈했다고 13일 밝혔다. 기존 체스터톤스 호텔 앱(디지털 컨시어지 서비스)과 완전히 연동돼 단순한 예약 시스템을 넘어 호텔

2

LV BnF ‘디에이이펙트’, 블랙프라이데이 시즌 맞이 '블랙타임' 프로모션 돌입
[메가경제=심영범 기자]로지스밸리비앤에프(이하 LV BnF)가 라이브 쇼핑계의 슈퍼셀러이자 블랙핑크 지수의 친언니로도 유명한 셀럽 김지윤과 손잡고 디에이이펙트 ‘블랙딜’ 라이브를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13일 저녁 8시부터 블랙프라이데이 시즌을 맞아 선보이는 ‘블랙딜’은 1시간 동안 라이브 쇼핑 플랫폼 그립(Grip)을 통해 진행한다. 라이브 방송에서는

3

티웨이항공, 2025년 국가고객만족도(NCSI) 저비용항공 부문 1위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티웨이항공은 한국생산성본부가 주관하는 ‘2025년 국가고객만족도조사(NCSI,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에서 저비용항공 서비스 부문 1위에 선정됐다고 13일 밝혓다. NCSI는 한국생산성본부와 미국 미시간대학이 공동 개발한 고객 만족 측정 모델로, 최근 6개월간 해당 항공사를 이용한 고객을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