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 달성...렉키로나·진단키트 등 코로나19 특수 반영

이석호 / 기사승인 : 2022-02-16 14:33:54
  • -
  • +
  • 인쇄
영업이익 7539억 ‘역대 최고’...전년比 5.86%↑
4분기 ‘코로나19 솔루션’ 매출 비중 31% 차지

셀트리온이 지난해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와 진단키트 등 매출 증가에 힘입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램시마’, ‘트룩시마’ 등 기존 주력 사업인 바이오시밀러 부문에서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며 역대급 실적 달성에 힘을 보탰다.
 

▲ 셀트리온 2공장 전경 [셀트리온 제공]


셀트리온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 8908억 원, 7539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2.26%, 5.8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6011억 원으로 전분기보다 49.9% 늘었고,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33.6% 증가한 219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렉키로나, 진단키트 등 코로나19 관련 실적이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분석된다.

4분기 매출 가운데 전분기에 1% 미만이었던 렉키로나 매출 비중이 전체의 17%를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처음 인식된 진단키트 매출도 14%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 전체로 보면 약 31%가 코로나19 관련 특수 효과에서 비롯된 것이다.

다만 셀트리온이 휴마시스와 함께 공급하는 신속진단키트는 수익성이 낮은 편으로 실질적인 이익 개선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 출처=셀트리온 IR 자료


셀트리온은 주력 사업인 바이오시밀러 부문에서도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등 주력 제품군이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 성장 흐름을 이어가며 실적을 개선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유럽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램시마 54%, 트룩시마 33.6%, 허쥬마 12.6% 등으로 나타났다.

미국 시장에서의 성장세도 두드러졌다.

지난해 4분기 기준 미국 시장 점유율은 램시마(미국 판매명 인플렉트라) 22.6%, 트룩시마 25.4%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10.8%, 5.6% 상승한 수치다.

▲ 출처=셀트리온 IR 자료


셀트리온은 오는 2023년까지 현재 보유 중인 총 11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 가운데 최소 5개에 대해 출시 지역을 확대하거나 신규 출시할 계획이다.

또 피하주사 제형인 램시마SC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기대를 걸고 있다.

코로나19 치료제와 진단키트 사업도 강화할 방침이다.

최근 코로나19 흡입형 항체치료제가 호주 임상 1상에서 안전성이 확인됐으며, 흡입형 칵테일 코로나19 항체치료제의 대규모 글로벌 임상 시험에도 돌입했다.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른 대규모 진단키트 공급 계약도 순항 중이다.

셀트리온은 미국 자회사 셀트리온USA 지난 11일 2차 계약분을 포함해 총 6600억 원 규모의 디아트러스트 공급 계약을 맺은 상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지난해 주력 항체 바이오시밀러와 코로나19 솔루션 제품군 매출 확대 등으로 양호한 실적을 이어갈 수 있었다”며 “올해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신성장 동력 발굴과 역량 집중을 통해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이석호
이석호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티웨이항공, 트리니티항공으로 사명 변경
[메가경제=심영범 기자]티웨이항공이 '트리니티항공(TRINITY AIRWAYS)'으로 사명을 변경하고 새 출발에 나선다. 8일 티웨이항공은 사명 변경과 브랜드 공개하는 등 리브랜딩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그룹 통합 서비스 구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트리니티(TRINITY)'는 라틴어 'Trinitas&#

2

‘K-브랜드지수’ 자산운용사, 미래에셋자산운용 1위 굳건…삼성·신한·한화 뒤이어
[메가경제=양대선 기자] 빅데이터 평가 기관인 아시아브랜드연구소는 'K-브랜드지수' 자산운용사 부문 1위에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선정됐다고 8일 발표했다.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시스템으로, 기존의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과 달리 후보 표본 추출부터 인덱스 선별까지 분야별 자문위원단의 검증을 토대로

3

다날, 원화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본격화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통합 결제 비즈니스 전문 기업 다날은 원화(KRW)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리플(Ripple) 서비스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XRP레저(XRPL)를 핵심 인프라 기술로 활용하기 위해 검토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XRPL은 리플이 주요 기여자로 참여하며 전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탈중앙 퍼블릭 블록체인이다. 지난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