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KISA, 6일부터 민관합동으로 특별조사점검단 꾸려
[메가경제=이석호 기자] LG유플러스가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이어 인터넷 접속 장애를 주말마다 일으키면서 안전불감증이 도마 위에 올랐다.
더불어 '인터넷 먹통'으로 소상공인들의 피해가 발생하자 정부도 LG유플러스에 칼을 빼든 모양새다.
![]() |
▲ LG유플러스 용산사옥 [사진=김형규 기자] |
LG유플러스는 지난 4일 오후 자사 인터넷망 접속이 끊겨 먹통이 되는 사고를 내 이용자들에게 피해를 입혔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이날 오후 두 차례(4시 57분~5시 40분, 6시 7분~23분)에 걸쳐 디도스로 추정되는 대용량 트래픽이 발생해 서비스 장애를 일으켰다.
앞서 지난달 29일 자사 유선 인터넷망에서 접속 장애가 발생한 지 엿새 만에 사고가 반복된 것이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이날 새벽부터 총 3차례에 걸쳐 약 63분간 인터넷 접속 장애가 발생했다.
회사 측에서는 연이은 인터넷 접속 장애가 발생한 원인에 대해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DDoS)' 공격에 따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디도스 공격은 특정 서버나 네트워크 장비에 대용량 데이터를 발생시켜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사이버 테러의 일종이다.
이에 LG유플러스는 지난 5일 디도스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CEO를 중심으로 한 전사 위기관리TF를 가동했다.
이번 TF에는 CEO를 비롯해 네트워크부문장·CTO·CRO 등 주요 경영진이 참여했다.
TF는 서울 용산구 본사 사옥에 위기대응 상황실을 구성한 뒤 CEO가 직접 마곡, 안양 등 전국 주요 통신국사를 총괄 지휘하는 등 실시간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이와 함께 추가적인 디도스 공격이 발생할 경우 공격 차단과 트래픽 우회 등 대응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전사 위기관리TF를 중심으로 한 대응체계를 통해 디도스 공격에 대한 사전 예방 및 대응 조치를 차질없이 수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인터넷 커뮤니티 캡처 |
하지만 연이은 인터넷 먹통 사태로 소상공인들이 영업에 지장을 받자 재발 방지책 마련과 함께 피해 보상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
이날 자영업자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가장 바쁜 시간에 통신 장애가 일어나 매출이 날아갔다거나 '포스(POS)' 작동이 안 된다는 불만의 목소리가 새어 나왔다.
특히 PC방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지난 명절 연휴에 이어 이번 통신 장애로 손님들이 한꺼번에 빠져나가면서 큰 손실을 입었다는 등 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영업이익 1조 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고 실적을 냈지만 보안 관련 투자에 인색했던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아직 회사 측에서는 이번 통신 장애에 대한 구체적인 피해 보상안이 나오지 않은 상태다.
▲ 인터넷 커뮤니티 캡처 |
연초 LG유플러스에서는 29만 명에 달하는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도 발생했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정부도 LG유플러스에 강력한 경고장을 날리며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는 최근 LG유플러스에서 벌어진 일련의 사태에 대한 진상 파악을 위해 기존 운영 중이던 '민관합동조사단'을 '특별조사점검단'으로 확대·개편해 6일부터 운영한다고 지난 5일 밝혔다.
이는 잇따른 사이버 공격 등으로 고객정보 유출, 인터넷 접속 장애 등의 국민 피해가 커지자 LG유플러스의 사이버 침해 예방 및 대응, 관련 보안 정책 등 전반적인 정보보호 대응 체계를 신속히 심층 점검하기 위해서다.
앞서 양측은 LG유플러스의 고객정보 대량 유출 사태를 중대한 침해사고로 판단해 지난 1월 11부터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원인 분석과 재발방지 대책 방안을 찾기 위한 민관합동조사단을 운영해 왔다.
특별조사점검단은 최근 침해사고의 종합적인 원인 분석과 함께 LG유플러스의 사이버 침해 예방과 대응의 전반적인 체계와 관련 문제점을 집중 점검·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조치 방안과 개선 대책을 조속한 시일 내에 제시할 예정이다.
![]() |
▲ 인터넷 커뮤니티 캡처 |
또 과기정통부는 주요 기간통신사업자인 LG유플러스가 디도스 공격에 연달아 인터넷 접속 장애가 발생하면서 기본적인 침해 대응체계가 미흡한 것에 대해 경영진에게 강력히 경고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일련의 사고를 국민들의 일상생활 마비로 이어질 수 있는 엄중한 상황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특별조사점검단에서 도출한 결과를 바탕으로 LG유플러스에 책임 있는 시정조치와 미흡한 부분에 대한 조치 이행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시는 반복된 침해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요 정보통신사업자의 침해 사고 대응체계를 개편하는 등 법령 개정을 포함한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는 9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도 이번 LG유플러스 사태에 대한 현안이 다뤄질 예정이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