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씨셀은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고영일 교수 연구팀과 진행한 재발성 급성골수성백혈병(AML)에 대한 연구자 주도 임상2상 시험 결과를 미국 혈액학회에서 발표한다고 13일 밝혔다.
미국혈액학회(ASH)는 지난 11일부터 오는 14일까지 미국 조지아주에서 온·오프라인 동시에 개최되는 전세계에서 주목받는 연례행사이다.
![]() |
▲ [GC셀 CI] |
임상시험은 기존 표준치료에 실패한 재발성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고활성 동종 자연살해세포(MG4101)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됐다.
환자에게 림프구 제거술 시행 후 총 2주기의 MG4101을 인터루킨-2와 함께 정맥 투여했다.
그 결과 객관적 반응률(ORR) 37.5%, 질병통제율(DCR)은 62.5%였다. 치료 반응이 없는 환자의 전반적 생존 중앙값은 1.0개월인 반면 치료에 반응한 환자는 3.7개월의 생존 기간을 보였다.
또한 사이토카인 방출증후군(CRS), 이식편대숙주질환(GvHD)과 같은 심각한 이상 반응 없이 우수한 내약성을 확인했다.
특히 종양세포에 특정한 수용체 리간드(ligand)나 유전자형을 가진 환자에서 더 좋은 예후를 확인해 향후 동종 NK세포치료제 개발의 중요한 예후 인자로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고영일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는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난치성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게 동종 NK세포치료제가 새로운 치료옵션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한 것으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황유경 지씨셀 세포치료연구소 소장은 "향후 다양한 약물과의 병용 치료나 기능이 강화된 NK세포치료제를 개발함에 있어 치료제를 고도화 하는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며 ”미국 임상 1상이 진행되고 있는 AB101 파이프라인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