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코로나19 자가검사키트 美 FDA 사용승인 획득

김형규 / 기사승인 : 2021-10-25 16:07:12
  • -
  • +
  • 인쇄
휴마시스와 공동개발 ‘디아트러스트 홈 테스트’

셀트리온이 체외진단 전문기업 휴마시스와 공동개발한 코로나19 항원 신속자가검사키트 ‘디아트러스트 코로나19 항원 홈 테스트’가 지난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긴급사용승인을 획득했다고 25일 밝혔다.

셀트리온은 지난 4월 FDA로부터 ‘디아트러스트 코로나19 전문가용 항원신속진단키트’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은 바 있다. 이어 이번 디아트러스트 홈 테스트까지 추가로 긴급사용승인을 획득하면서 미국 코로나19 진단키트 시장 공략에 더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 '티아트러스트 COVID-19 Ag 홈테스트' 제품 사진 [셀트리온 제공]

 

디아트러스트 홈 테스트는 14세 이상 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별도 처방전 없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구매할 수 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디아트러스트 홈 테스트는 지난 3월부터 7월까지 미국에서 코로나19 유‧무증상자 490여 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한 결과 ‘민감도 1’과 ‘특이도 2’에서 각각 86.7%, 99.8% 수준의 정확성을 보였다.

미국 내에서 이미 FDA 승인을 받아 유통 중인 타사 제품은 증상 유무와 상관없이 2회 이상의 테스트를 해야 하는 연속 검사가 요구된다.

반면 디아트러스트 홈 테스트는 무증상자에 대해서는 똑같이 연속 검사를 해야 하지만 유증상자는 단 한 번의 테스트만으로도 감염 여부 확인이 가능하다.

셀트리온은 자회사 셀트리온USA를 통해 ‘디아트러스트 코로나19 항원 홈 테스트’를 미국 내 공급할 예정이다. 신속한 공급을 위해 현지 정부와 온‧오프라인 유통사들과 막바지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제품생산은 공동 개발사인 휴마시스에서 담당한다.

셀트리온은 미국이 점차 ‘위드코로나’ 시대로 접어들면서 진단키트 수요도 높아질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디아트러스트 홈 테스트의 FDA 긴급사용승인을 통해 미국시장 내 디아트러스트 전체 제품군의 시장점유율을 넓혀 나갈 방침이다.
 

▲ [셀트리온 CI]

 

한편 셀트리온은 지난달 미국방부 산하 조달청(DLA)로부터 최대 7382억 원 규모의 전문가용 디아트러스트 제품 공급계약을 따낸 바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이번 긴급사용허가는 셀트리온 진단키트 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이뤄진 결과”라며 “제품의 조기 공급을 통해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메가경제=김형규 기자]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형규
김형규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SKT, 日 ‘타임트리’와 한·일 AI 에이전트 시장 선도 나선다
[메가경제=황성완 기자] SK텔레콤은 글로벌 일정 공유 플랫폼기업 타임트리(대표이사 박차진, 후카가와 야스토와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서비스 개발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타임트리는 2014년 일본에서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동명의 일정 공유 플랫폼 앱(App) 타임트리(TimeTree)를 운영하는 기업이다. 타임트리 앱은 전세계 약 6700만

2

NC소프트, 지스타 2025 메인 스폰서 참가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NC소프트는 국내 최대 게임 전시회 ‘지스타(G-STAR) 2025’에 참가한다고 8일 밝혔다. NC소프트는 ‘지스타 2025’의 메인 스폰서를 맡는다. B2C(기업과 소비자간 거래)관에 대규모 전시관을 마련해 게임 이용자들과 직접 만난다. 단독 300 부스 규모의 최대 전시 공간에서 신작 라인업을 공개한다.NC소프트는 몰입도 높은

3

아워홈, 경양식 돈까스 ‘남산왕돈까스’ 선봬
[메가경제=심영범 기자]아워홈은 이마트 트레이더스 전용 ‘남산왕돈까스’를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은 밀가루 대신 자체 개발한 전분 베이스의 베터믹스(Batter mix) 기술을 적용해 튀김옷의 바삭한 식감을 강화하고 눅눅함을 최소화했다. 돼지공기 함량을 높여 고기 본연의 풍미를 살렸으며, 소스도 넉넉하게 준비했다. 레트로 감성을 담은 패키지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