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제 하숙집' 정승제 "너네 공부해야 돼" 잔소리 폭발 왜?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4 08:58:42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정승제 하숙집’이 드디어 정식 오픈을 알리는 첫 예고편을 선보였다.

 

▲'정승제 하숙집'. [사진=E채널]

 

11월 26일(수) 저녁 8시 첫 방송을 앞둔 티캐스트 E채널 신규 예능 프로그램 ‘인생 때려잡기: 정승제 하숙집’(이하 ‘정승제 하숙집’)은 인생 때려잡고 싶은 젊은이들이 밥도 청춘도 나누며 ‘정승제 생선님’에게 인생 수업도 받는 뉴노멀 하숙 관찰 예능이다. 정승제가 칠판 분필 대신 밥주걱을 잡고 ‘어른이 하숙생’들에게 인생 간섭을 해주고, 정형돈은 ‘하숙집 학생주임’으로, 한선화는 ‘하숙집 살림꾼’으로 환상의 케미를 발산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제작진은 대망의 ‘1기 하숙생’들을 맞이하는 ‘하숙집 이모 삼총사’인 정승제, 정형돈, 한선화의 활약상이 담긴 첫 회 예고편을 공개해 본방송에 대한 기대감을 수직 상승시켰다. 이번 예고편에서 정승제는 2층 단독 주택인 하숙집에 들어서면서 “하숙집~, 하숙집~, 너무 예쁘지?”라고 콧노래를 부른다. 정형돈과 한선화도 “채광이 정말 좋다”며 만족스러워하고 뒤이어 정형돈은 이불들을 실어 나르며 부지런히 일을 한다. ‘힘 쓰는 담당’ 도니 삼촌에 이어, ‘큰 손 담당’인 ‘하모님’ 한선화 역시 “원래 하숙집 이미지가 (식사를) 후하게 산처럼 쌓아놓고 주잖아~”라면서 푸짐한 밥상을 차려낸다. 

 

직후, 초인종이 울리고 ‘1기 하숙생’들이 줄줄이 입주하는데, 큰 캐리어를 끌고 나타난 보부상 스타일의 여자 하숙생부터, ‘친화력 갑’인 하숙생, 선물을 준비해 나눠주는 ‘프리패스상’ 하숙생 등이 범상치 않은 포스를 내뿜어 눈길을 사로잡는다. 

 

각자 다른 이유로 우연히 만나, 하숙집에서 동고동락할 청춘들의 이야기에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정승제는 불시에 하숙생들의 방을 급습한다. 그러면서 “너네 놀면 안돼! 빨리 공부해야 돼!”라고 속사포 잔소리를 쏟아낸다. 또한 그는 “너희 잡담하고 있지? 공부를 해야지 밥이 맛있다니까!”라며 감시 모드를 켠다. 나아가 그는 창문을 테이프로 철저히 봉쇄하면서 ‘감금’(?)까지 시도하고, “진짜 때려잡아야 돼!”라고 외친다. 과연 ‘일타 강사’의 스파르타 하숙집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질지, 1기 하숙생들의 정체와 이들의 운명에 관심이 쏠린다.

 

인생을 때려잡고 싶은 젊은이들이 밥도 청춘도 나누며, ‘정승제 생선님’에게 인생 수업도 받는 뉴노멀 하숙 관찰 예능 '정승제 하숙집'은 11월 26일(수) 저녁 8시 E채널에서 첫 방송된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광고PR실학회, 2025년 하반기 정기학술대회 개최
[메가경제=이준 기자] 한국광고PR실학회는 오는 28일 서울 광운대학교 80주년 기념관에서 2025년 한국광고PR실학회 하반기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K-컬쳐와 AI 광고PR의 혁신: 신뢰를 넘어선 미래’라는 대주제로 진행된다. 현재 K-컬쳐가 전 세계 문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인공지능(AI) 기술은 광고 및 홍보 전 분야에

2

홈플러스 인수 적정 주체, 국민 38.8%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 꼽아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24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홈플러스를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이 인수해야 한다는 국민적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보팀장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최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회생절차를 진행 중인 국내 2위 대형마트 홈플러스의 매각과 관련해 국민 여론을 조사했다.이번 조사에서 글로벌 시

3

에이티바이오제약, 통합 제조 플랫폼 통해 화장품 창업 지원 프로젝트 본격 가동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화장품 OEM·ODM 전문기업 (주)에이티바이오제약이 예비 창업자를 위한 화장품 창업 지원 프로젝트를 새롭게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연령과 성별 제한 없이 화장품 브랜드를 시작하려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최소 MOQ 1,000개부터 합리적인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 초기 자본 부담을 크게 낮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