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박투어4' 김준호 "맥주 리조트서 잤더니 숙취가…" 만취 상태 발견?

김지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4 08:59:17
  • -
  • +
  • 인쇄

[메가경제=김지호 기자] ‘독박투어4’ 김준호가 ‘취권 할아버지’로 역변(?)해 ‘독박즈’를 충격에 빠트린다. 

 

▲'독박투어4'. [사진=채널S, SK브로드밴드]

 

22일(오늘) 밤 9시 방송하는 채널S ‘니돈내산 독박투어4’(채널S, SK브로드밴드 공동 제작) 26회에서는 중국 칭다오로 ‘절주 여행’을 떠난 김대희x김준호x장동민x유세윤x홍인규가 ‘해삼국수’로 럭셔리 해장 타임을 만끽하는 현장이 펼쳐진다. 

 

앞서 칭다오의 ‘타이동 야시장’을 섭렵한 ‘독박즈’는 이날 홍인규가 야심차게 예약한 ‘맥주 리조트’에 체크인 한다. 문을 열자마자 김대희는 “이거 스위트룸 아니야?”라며 감탄하고, 직후 이들은 숙소비를 건 독박 게임에 들어간다. 눈을 가리고 감으로 맥주를 따르는 이색 대결에서 과연 누가 75만원(스위트 룸+일반 객실) 상당의 숙소비를 내게 될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다음 날 ‘독박즈’는 짐을 챙겨 식사를 하러 간다. 

 

그런데 김준호가 보이지 않아 모두를 걱정케 한다. 잠시 후, 김준호는 리조트 내에 잔디밭 위에서 ‘취권 할아버지’ 분장을 한 채 발견돼 ‘독박즈’를 놀라게 한다. ‘급 노화’된 김준호는 만취 연기를 선보이고, “어제 맥주 리조트에서 잤더니 숙취가 심하네”라면서 비틀거린다. 김준호의 열연에 감복한 김대희는 “너 어제 잠 안자고 계속 마시더니~”라고 받아쳐 대환장 케미를 발산한다. 

 

유쾌한 웃음 속, ‘독박즈’는 아침 식사 겸 해장으로 해삼국수를 먹기로 한다. 식당에 들어선 홍인규는 “해삼이 바다의 인삼이잖아!”라며 기대하고 김준호는 해삼국수는 물론 오징어 만두까지 푸짐하게 주문한다. 이때 유세윤은 “어제 내 친구에게 선물받은 고량주 먹을까?”라고 떠보는데, 김준호는 즉각 “좋지! 이게 바로 사나이들의 여행이지~”라고 호응해 ‘절주 여행’에 위기를 드리운다. 

 

그런가 하면 이들은 ‘최다 독박자’ 선정 타임이 다가오자 극도의 긴장감을 토로한다. 홍인규는 “이번 벌칙이 역대급으로 무섭다. ‘왕홍 분장’에 벌레 먹으며 라이브 방송까지 해야 하는데 어떡하냐”며 괴로워한다. 반면 김대희는 “난 ‘무독’이라~”라며 입방정을 떠는데, 과연 누가 ‘최다 독박자’ 벌칙을 하게 될 지에도 궁금증이 모아진다. 

 

중국 칭다오로 ‘절주 여행’을 떠난 ‘독박즈’의 유쾌한 케미는 22일(오늘) 밤 9시 방송하는 채널S ‘니돈내산 독박투어4’ 26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광고PR실학회, 2025년 하반기 정기학술대회 개최
[메가경제=이준 기자] 한국광고PR실학회는 오는 28일 서울 광운대학교 80주년 기념관에서 2025년 한국광고PR실학회 하반기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K-컬쳐와 AI 광고PR의 혁신: 신뢰를 넘어선 미래’라는 대주제로 진행된다. 현재 K-컬쳐가 전 세계 문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인공지능(AI) 기술은 광고 및 홍보 전 분야에

2

홈플러스 인수 적정 주체, 국민 38.8%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 꼽아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24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홈플러스를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이 인수해야 한다는 국민적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보팀장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최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회생절차를 진행 중인 국내 2위 대형마트 홈플러스의 매각과 관련해 국민 여론을 조사했다.이번 조사에서 글로벌 시

3

에이티바이오제약, 통합 제조 플랫폼 통해 화장품 창업 지원 프로젝트 본격 가동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화장품 OEM·ODM 전문기업 (주)에이티바이오제약이 예비 창업자를 위한 화장품 창업 지원 프로젝트를 새롭게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연령과 성별 제한 없이 화장품 브랜드를 시작하려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최소 MOQ 1,000개부터 합리적인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 초기 자본 부담을 크게 낮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