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창업허브 공덕, 2025년 오픈이노베이션 성과공유회 성료…프로그램 우수사례 확산

전창민 기자 / 기사승인 : 2025-11-24 16:10:27
  • -
  • +
  • 인쇄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서울경제진흥원(SBA)이 운영하는 서울창업허브 공덕은 지난 19일 서울파트너스하우스 컨벤션홀에서 2025년 서울창업허브 오픈이노베이션 성과공유회를 성료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성과공유회의 슬로건은 ‘함께 만든 혁신, 함께 여는 미래(Co-create, Co-share)’로, 대·중견기업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프로그램 우수사례를 대외에 공유·확산하기 위해 마련돼다.

 

이날 대·중견기업, AC/VC, 창업지원 기관, 스타트업 관계자 약 80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경제진흥원 김현우 대표의 개회사와 삼성물산 조혜정 부사장의 축사로 행사의 막을 열었다.

 

먼저 서울창업허브는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투자‧실증(PoC) 등 실질적 성과를 창출해 오픈이노베이션 생태계 활성화에 이바지한 우수 협력 파트너사에 감사패를 수여했다. 우수 협력 파트너사로는 ▲삼성물산 ▲NH농협은행 ▲신한벤처투자 ▲현대홈쇼핑 ▲솔루엠이 선정됐다.

 

대·중견기업과 협력 스타트업이 함께 이룩한 성과도 주목받았다. 대·중견기업은 오픈이노베이션 우수 프로그램을 소개했으며, 주요 성과와 차년도 계획을 발표했다. 이어 협력 스타트업은 협력과제와 실증(PoC)성과, 투자‧상용화 진행 상황을 전했다.

 

▲NH농협은행과 ‘로민’은 문서 데이터를 더욱 가치 있게 만들어주는 도큐먼트 AI 플랫폼을 소개했고, ▲신한벤처투자와 ‘메타로고스’는 함께 구축한 주관 공모주 자동 청약/매도 API를 선보였다. 또 ▲현대홈쇼핑과 ‘제트에이아이’는 사용자 행동 분석 기반 CRM 마케팅 솔루션을, ▲솔루엠과 ‘애즈위메이크’는 식자재 마트 디지털 전환 통합 관리 솔루션을 발표했다.

 

이외에도 이번 오픈이노베이션 성과공유회에서는 우수 스타트업 전시 부스를 운영해 스타트업의 기술 및 협력 실증성과를 홍보하고, 대기업-스타트업-VC 간 네트워킹을 통해 신규 투자 및 후속 협력 비즈니스를 유치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해당 전시부스에는 ▲크디랩 ▲르몽 ▲퍼플아이오 ▲씨드앤 ▲피치에이아이 ▲임팩티브AI ▲디비디랩 ▲아치서울 ▲아워스팟 ▲하이 등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발굴된 스타트업 10개사가 참여했다.

 

서울창업허브 공덕은 올해 약 30개의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스타트업과 대·중견기업과의 매칭을 통해 기술 협력 및 전략적 투자를 지원했다. 

 

서울창업허브 관계자는 "미래 기술 경쟁력 확보 및 혁신을 위해 앞으로도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기술 협력을 지속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한국광고PR실학회, 2025년 하반기 정기학술대회 개최
[메가경제=이준 기자] 한국광고PR실학회는 오는 28일 서울 광운대학교 80주년 기념관에서 2025년 한국광고PR실학회 하반기 정기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학술대회는 ‘K-컬쳐와 AI 광고PR의 혁신: 신뢰를 넘어선 미래’라는 대주제로 진행된다. 현재 K-컬쳐가 전 세계 문화 시장을 선도하고 있고, 인공지능(AI) 기술은 광고 및 홍보 전 분야에

2

홈플러스 인수 적정 주체, 국민 38.8%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 꼽아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24일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홈플러스를 농축협 계열 유통기업이 인수해야 한다는 국민적 여론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보팀장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최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2명을 대상으로 회생절차를 진행 중인 국내 2위 대형마트 홈플러스의 매각과 관련해 국민 여론을 조사했다.이번 조사에서 글로벌 시

3

에이티바이오제약, 통합 제조 플랫폼 통해 화장품 창업 지원 프로젝트 본격 가동
[메가경제=전창민 기자] 화장품 OEM·ODM 전문기업 (주)에이티바이오제약이 예비 창업자를 위한 화장품 창업 지원 프로젝트를 새롭게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연령과 성별 제한 없이 화장품 브랜드를 시작하려는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최소 MOQ 1,000개부터 합리적인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 초기 자본 부담을 크게 낮춘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