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분석] 청년백수 역대최대, 기록 경신의 끝은 어디?

조승연 / 기사승인 : 2017-01-15 11:58:47
  • -
  • +
  • 인쇄

[메가경제 조승연 기자] 청년백수 역대최대란 말이 올해엔 사라질 수 있을까. 최악의 경기 침체를 반영하듯 지난해 청년백수 비율이 역대최고를 기록했다. 한번도 취업해본 적이 없는 청년실업자 수 역시 역대최대치를 기록했다. 전체 청년 실업자 중 취업 경험이 전무한 청년이 차지하는 비율도 예외 없이 최고기록을 경신했다. 청년 취업과 과련한 모든 지표가 최악의 상황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최근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청년실업률은 9.8%로 집계됐다. 청년을 지칭하는 연령대는 15~29세다. 지난해 청년실업률은 전년보다 0.6%포인트 올라간 것이다. 최근 수년간 청년실업률을 보면 2012년 7.5%, 2013년 8.0%, 2014년 9.0%, 2015년 9.2%였다.


청년백수 역대최대를 실감케 하는 또 다른 자료는 취업 경험이 전혀 없는 청년실업자의 증가세다. 지난해 그 수가 8만 4000명에 달했다. 2000년부터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후 역대최대치다. 취업 무경험 청년실업자 수는 매년 2월 정점을 찍은 뒤 하락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2월에 그 수가 13만 3000명까지 올라갔다. 이후 6~7월에는 그 수가 10만~11만명 선을 유지했다.


지난해 기준 전체 청년실업자 가운데 취업 무경험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역시 19.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비율은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11%대를 유지했으나 2015년과 2016년엔 연이어 19%대의 기록을 나타냈다.


지난 한햇동안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쉬었음'으로 분류된 청년의 수는 27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장기 실업자의 증가도 청년백수 역대최대 현황을 뒷받침하는 요소중 하나다. 지난해를 기준으로 할 때 취업 유경험자 중 1년 이상 실업상태인 청년은 13만 2000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014년의 11만 7000명에 비해 12.8%가 증가한 수치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실업률은 3.7%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청년백수 역대최대를 불러온 청년층 실업률이 같은 기간 0.6%포인트 상승한 것에 비하면 그나마 증가폭이 작은 편이다.


청년백수 역대최대 기록과 관련, 통계청 관계자는 "질 낮은 일자리에 취업했다가 실망하고 퇴사한 뒤 양질의 일자리를 찾으려는 사람이 늘어난데 따른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메가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조승연
조승연

기자의 인기기사

뉴스댓글 >

최신기사

1

철도연, 지티엑스에이운영과 친환경 안전 업무협약 체결
[메가경제=문기환 기자] 한국철도기술연은 지티엑스에이운영(주)와 GTX-A의 시민편의 및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한 공동연구 및 테스트베드 설치·운영에 대한 업무협약(MOU)을 9일 오후 2시, 경기 고양시 지티엑스에이운영(주) 회의실에서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수도권 광역급행 철도를 만들기 위한 상호 연구협력 체계를 구

2

IBK기업은행, ‘미국 관세 대응 설명회’ 개최
[메가경제=이상원 기자] IBK기업은행은 지난 9일 경기 화성시 중소기업지원센터에서 수출 중소기업을 위한 ‘미국 관세 대응 설명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 ‘미국 관세 대응 설명회’는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수출 관련 애로사항을 겪는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이번 설명회에서는 미국 관세 정책의 최신 동향 관세 정책이 국내 미치는 영향

3

롯데바이오로직스, 송도 바이오캠퍼스 제1공장 상량식 개최
[메가경제=주영래 기자] 롯데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박제임스)는 인천 송도국제도시 첨단산업클러스터에 건설 중인 송도 바이오캠퍼스 제1공장의 상량식을 개최했다고 10일 밝혔다.이날 행사에는 롯데바이오로직스 박제임스 대표이사와 신유열 글로벌전략실장 겸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롯데건설 박현철 대표이사 부회장, 롯데건설 김진 CM사업본부 대표 등 롯데그룹의 주요 인

HEADLINE

더보기

트렌드경제

더보기